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비합리적인 신념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265명을 대상으로 비합리적 신념, 경험회피, 사회불안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비합리적 신념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합리적 신념과 경험회피, 사회불안의 측정변수들의 상관계수를 살펴 본 결과 측정변수 간 정적상관이 있으며 모두 유의미하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비합리적 신념 전체 수준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경험회피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비합리적 신념의 하위 요인 중에 무시나 부당대우에 대한 민감성은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성취에 대한 집착, 자기비하, 불편감이나 좌절에 대한 낮은 인내력 그리고 호감이나 인정에 대한 집착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비합리적 신념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에 초점을 맞춘 상담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의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논의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the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265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set of questionnaire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the data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irrational beliefs,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partial mediating effects and full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scales of irrational beliefs (Need for Achievement, Self-Downing, Need for Comfort, Demands for Fairness and Need for Approval) and social anxiety. In summar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lead to the conclusion that irrational beliefs had an indirect effect on social anxiety through experiential avoidanc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conducting future research on this top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