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관계자들의 인식과 요구를 토대로 체제적 학교혁신의 주요 영역을 구체화하고, 단위학교별 학교혁신 현황 및 과제를 진단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교육 및 학교혁신과 관련된 문헌분석,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방문조사 및 교사간담회, 혁신미래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전문가 초청 간담회 등을 통해 학교관계자의 요구와 단위학교의 현실적 맥락을 고려하여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는 거버넌스, 조직운영, 교육과정 및 평가, 교원전문성, 교육공간 및 테크놀로지, 학생자치, 외부환경의 7대 혁신 영역과 31개의 영역별 과제들로 구성되었으며, 인천광역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1,317명의 관리자 및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진단도구로서의 신뢰도와 타당성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진단도구는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에서 모두 적용가능하며, 혁신의 주체인 단위학교 관계자의 인식에 기초하여 체제적이고 미래지향적 학교혁신을 위한 발전방향 및 운영과제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assess the current state and identify critical areas of school innovation that represent the needs of faculty and to drive systemic change.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visits,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principals, and superintendents; expert consultations; and discussions among the researchers, we identified seven domains (school governance, organizational management, curriculum and assess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learning space and technology, student autonomy, and community relations) and 31 corresponding items. We administered the survey to 1317 school personnel (from both traditional and innovative pilot schools)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ith the second-order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strument can serve as an alternative to assess the state of innovation for both traditional and innovative pilot schools of all grades. Perceptions and opinions of school personnel, who are expected to play a leading role from the needs assessment stage, can be revealed through the instrument. To cultivate systemic change in schools, it is imperative to identify needs in all seven domains, including learning space and technology, which have been previously neglected. The study concludes with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using the instrument for systemic school innovation and future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