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중도·중복장애학생은 일반적으로 인지적 및 신체적인 어려움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단일 장애를 가진 특수교육대상자와는 또 다른 특수교육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를 살펴봄으로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조사연구와 초점집단인터뷰를 중심으로 한 수렴적 형태의 혼합연구방법을 통하여 연구 주제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조사연구에는 총 142명, 초점집단인터뷰에는 총 5명의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부모가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부모들은 현재의 진로·직업교육이 자녀에게 적절하지 않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또한, 학부모들은 자녀를 위한 진로·직업교육이 일상생활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고, 더 나은 진로·직업교육을 위해서는 학교, 지역사회, 법적 시스템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구체적인 다섯 가지 종합적인 시사점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적절한 진로·직업교육의 실시, 기존과는 다른 방향의 진로·직업교육 제공, 취업 이외의 졸업 후 진로 확대,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다양한 정보 제공, 그리고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학부모 및 학교(교사)의 관심 증대이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order to suggest improvement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The study used a convergent design of mixed methods. A total of 142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study, and fiv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lso joined the focus group interview. Results: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felt that typical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ercised in practice is not appropriate in terms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needs. The parents insisted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should focus on life skills. Additionally, they required different types of support from school, local community, and the legal system. Conclusion: Fi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