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에서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순회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과제와 대응에 대해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일본 X 현에 소재하는 Y 특별지원 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순회교육 담당교사 4명을 대상으로 개별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순회교육의 과제는 학생의 장애 및 건강, 수업형식, 보호자와의 관계, 교육 시간과 환경에 관한 과제의 4개 카테고리가 도출되었다. 각각의 과제에 대한 대응을 살펴보면, 첫째, 학생의 장애 및 건강에 관한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학생의 건강 상태를 우선 고려하고 수업 시에 보호자를 대기하도록 하였다. 둘째, 수업형식에 관한 과제(1대 1 교육의 한계, 학교 내 다른 교사들과 거리감)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다른 교사들과 상담하거나 수업기록을 남기고 있었다. 또한, 일부 교사는 학교 내 수업 일을 확보하려고 노력하였다. 셋째, 보호자와의 관계에 관한 과제(보호자와 관계형성의 어려움, 보호자가 수업을 보고 있다는 긴장감)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전 담임과 정보를 공유하거나 교사와 학생만의 수업시간을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넷째, 교육 시간과 환경에 관한 과제(수업시간 부족, 제한된 환경)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수업 일을 연속으로 설정하거나 교재 및 교구를 엄선하여 활용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순회교육 과제에 대한 대응은 주로 담당교사 개인의 지식과 경험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순회교육의 질적, 양적 발전을 위해서 교사 개인만이 아니라 학교, 시나 현, 그리고 국가 차원에서 연구하고 제도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roblems and coping strategies of special educators providing itineran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Japan.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 special educators providing itinerant education in the Y Special School, located in X prefecture, Japan.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participant. Results: The problems of itinerant education were divided into 4 categories: the student’s disability and health, the teaching metho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the teaching time and environment. The coping strategies on each problem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oping strategy on the student’s disability and health, participants considered the health condition of the children first and required parents to be on standby. Second, regarding the coping strategy on the teaching method, they either consulted with other teachers or kept the teaching notes in order to resolve the limitations of one-to-one teaching, the sense of distance between other teachers working in the school, and so on. In addition, some of them tried to have teaching days at the school. Third, regarding the coping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y either shared information with the former itinerant education teacher or made one-to-one teaching time in order to resolve a difficulty informing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 tension arose due to the supervision by parents, and so on. Fourth, regarding the coping strategy on the teaching time and environment, they either arranged the teaching days in a row or carefully chose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in order to resolve the lack of teaching time, limited space at home,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nd so 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pecial educators rely on their own knowledge and experience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itinerant education.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improve itinerant education not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at the school, city, prefecture, and nation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