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Due to increasing global competition, global human resources became more important. Supranational enterprises and nations emphasize the acquisitions of excellent human resources from global markets. Korea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destinations for Myanmar citizens to study, travel and find jobs due to a variety reason. To explain the movement of global human resources including students and certain employments, a behavioral perspective is considered more relevant than a structural perspective in the international migration theories. The previous findings already examined that the affiliation towards a country affects the attitude towards migration. This paper viewed the migration process of Myanmar citizens from behavioral perspectives and is designed to explore how prior experiences of Korea such as Korean wave, language and work effect on their attitude towards migration decision through the country image, university image and employer image. The SMART PLS-3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and assessed the structural equational model by using the 175 respondents from Myanmar. The results found that prior experiences such as language, work and Korean waves are the major predictors for attitudes towards migration to Korea. But, work experiences with Koreans gave negative effects on migration’s attitude. The overall findings recommended us that language, work and culture experiences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behavioral factors, and Koreans employer and country image became important behavioral factors and mediators.


글로벌 경쟁시대에 글로벌 인적자원관리는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초국가적기업 및 각 국가는 훌륭한 인적자원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은 미얀마 국민에게 여러 이유로 유학, 여행과 취업에 있어서 훌륭한 목적지가 되고 있다. 유학생, 여행자 또는 취업자에게 이주국과 관련하여 구조적인 시각 보다 행동적인 시각이 더 타당하다는 이론이 대세이다. 어떠한 국가에 대한 소속감이 이민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이미 나와 있다. 본 연구는 미얀마 국민의 이주 과정을 행동적 시각에서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한국에 대한 경험 즉 한류, 한국인과의 업무 경험과 언어학습 등의 비경제적인 요인이 국가, 대학과 고용인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러한 요인이 미얀마 국민들의 한국 이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SMART-PlS 3를 활용하여 175명의 미얀마 응답자들의 표본을 바탕으로 가설 검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한국어 경험, 한국인과의 업무 경험과 한류에 대한 태도가 미얀마인의 한국 이주태도에 중요한 예측변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한국인과 업무경험은 미얀마인의 한국 이주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언어와 업무경험, 한류에 대한 태도가 가장 중요한 예측변수가 되며 국가이미지와 고용인 이미지는 한국경험과 이주에 대한 태도 간의 중요한 매개변수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