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본에서 의전을 졸업한 한흥교는 1911년 10월 중국인 친구와 함께 중국으로 건너가 신해혁명에 참가했다. 한편으로 상해에서 신규식 등과 함께 동제사를 결성하여 한국의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한흥교는 3·1운동이 일어나자 북경에서 대한독립청년단을 결성하여 상해에서 추진했던 폭탄 투탄의거 계획에 관여하였다. 그리고 의열단과 다물단을 통해 의열투쟁을 계속하였다. 1920년 초부터 그는 사회주의세력과 연대하는 무장투쟁노선을 추구하며 신문 ≪晨光≫을 발행하여 공산주의 선전활동을 했다. 한흥교는 임시정부 노선에 불만을 갖고 있었지만 임시정부를 불승인하는 입장은 아니었다. 한흥교는 중국에 귀화한 의사라는 안정된 신분으로 북경의 한인사회에서 지도자의 자리에 있었다. 북경지역 최초의 교민단체 한교구락부를 조직하였고 유학생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Han Heung-gyo(韓興敎) studied Western medicine at the Okayama Medical College in Japan and joined the Xinhai revolution in October 1911 with his Chinese friends. On the other hand, he enter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Shanghai in 1912. Han Heung-gyo formed the Korean Independence Youth Party centered on international students as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ook place. He has adopted the policy line of armed struggle against Japan occupation, cooperating with socialist forces and conducting communist propaganda activities in support of the Soviet Russian government. He has been a leader in the Beijing Korean community with a stable status as a naturalized doctor in China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groups and student organizations. Han Heung-gyo organized the Oversea Korean Comrade Party in conjunction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s Chang jo pa who claimed to form new government in Beijing as the promoter of the National Party. He formed the Lead of Korea(導報), and strived for the movement of unification of the pa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