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 언어평가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언어지식과 경험 의존적인 표준화 검사를 포함한 어휘지식 평가와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덜 편향적(biased)인 것으로 알려진 구어처리 과제의 언어장애 예측 여부와 설명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생활연령을 6개월 이내로 일치시킨 6-11세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정상 언어아동(15명)과 다문화가정 언어장애아동(15명), 일반가정 정상언어 아동(15명) 등 총 세 집단 45명을 대상으로 어휘검사와 비단어따라말하기 과제(NRT)와 문장폭기억 과제(CLPT)를 실시하였다. 월령과 지능을 제어변인으로 하고 정상언어 집단과 언어장애 집단의 이분변인인 종속변인을 포함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편상관 분석을 실시하고, 언어수준별 집단(정상언어집단, 언어장애집단)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각 과제 수행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구어처리 변인이 단일 투입되었을 때 집단 구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어처리 과제 변인을 입력방식으로 모두 투입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월령과 CLPT 낱말회상 점수 변인이 유의수준 .05에서 언어장애 여부 결정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계선택 방법으로 도출한 회귀방정식에는 월령과 CLPT 낱말회상 점수, NRT 음절 점수가 유의한 변인으로 모형에 포함되었으며, 전체 모형의 집단 분류 정확률은 88.4%로 높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학령기 다문화가정 언어장애 아동과 다문화가정 및 일반가정의 정상언어 아동을 예측하는 데 비단어따라말하기와 문장폭기억 과제등의 구어처리 과제가 유용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vocabulary knowledge-based’ measures, including a standardized vocabulary test, and ‘language processing’ measures administered to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ree groups of school-aged childr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children with a language delay), aged 6-11, were recruited and have went through three knowledge-based tests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expressive/receptive tests and culture-related vocabulary expression test), and two processing-dependent measures (nonword repetition [NRT], competing language processing task [CLPT]). All three groups were matched in terms of family income, and 1 to 1 matched by age (in months) within ±6 months. Resul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comparable diagnostic accuracy for both knowledge-based vocabulary measures and processing dependent measures. When all measures were put into regression analysis at once, however, processing dependent measures, in particular the CLPT recall measures, were the most predicting factors.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hat processing measures, which are less time-consuming and more independent to language experience or knowledge, have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n identifying language impairments in school-aged multicultural children. Further study is needed regarding processing measure to assure the predictive value with populations from various socio-economic status backgrounds and other family factors in order to be put it into practice as an assistive or primary diagnostic proced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