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9세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을 부모가 작성하는 아동화용언어체크리스트(CPLC)를 통해 알아보고 아동 및 가정 환경의 요인에 따라 화용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한국육아정책연구소의 대규모 종단연구인 한국아동패널 조사에 참여한 전국의 9세 아동 1,386명을 대상으로 부모보고 설문지인 CPLC를 작성하게 하였다. 전체 아동의 CPLC 총점과 영역별 점수의 기술통계와 성별, 어머니 학력, 가정 소득수준, 거주지 규모별로 CPLC의 총점과 영역별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두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전반적으로 9세 아동은 CPLC의 총점과 담화관리, 상황에 따른 조절,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영역은 담화 관리 영역이었다. 아동의 성별과 사회경제적지위(어머니의 학력과 가정의 소득수준)가 높을수록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어머니의 학력과 아동의 성별이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성별과 SES 요인이 언어발달 후기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며 언어의 의미나 형식뿐 아니라 의사소통 능력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며, 학령기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와 중재 시에도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Improvement of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has often been regarded as a major feature of language development during school-ag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of 9-year-old children. The current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se abilities vary according to the child’s gender and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Methods: Performance data on the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CPLC) and information regarding child and family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from 1386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otal and subtest scores of the CPLC were obtain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one-way ANOVA and t-test were used to compare group differences, as well a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seeking affecting factors for performance on the CPLC. Results: In general, 9-year-old children obtained good scores in CPLC total and subtest scores. Discourse management was relatively difficult when compared to the other sub-areas. The children’s gender and SES (education level of mother, monthly family income) brough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as well as the size of their residential areas.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alone, along with the child’s gender, affected the pragmatic abilities of 9-year-old childre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9-year-old children have fair pragmatic, communication skills, and suggested that child gender and SES should be considered i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pragmatic language 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