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배경: 최근 국내에서 초등학생의 흡연 경험률은 감소하고 있지만 최초 흡연 경험 연령과 매일 흡연 시작 연령의저연령화 현상을 보인다. 초등학생의 흡연 경험률은 2006년1.68%에서 2016년 0.3%로 감소하였으나, 최초 흡연 경험연령은 12.7세로 이는 호주(15.9세)와 캐나다(13.6세)에 비하여 낮다. 또한, 매일 흡연 시작 연령도 13.6세로 유럽(16-17세) 보다 현저히 낮았다. 이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체험활동중심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ASE 모델에 근간해서 그 효과를 평가하고, 초등학생 흡연예방교육의 기초자료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ASE 모델이며, 연구는 체험활동 중심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ASE 모델 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실험설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성남시 소재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84명(실험군 42명, 대조군42명)이었다. 실험군에 실험군 학교의 보건교사가 체험활동중심 흡연예방교육을, 대조군에 대조군 학교의 보건교사가강의식 흡연예방교육을, 각각 주 1회씩 5주간 제공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에서 흡연 태도, 사회적 영향, 흡연 거절 자기효능감 및 비흡연 의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체험활동 중심 흡연예방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의 태도 점수는 강의식 흡연예방교육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t=4.75, P<0.001). 체험활동 중심 흡연예방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의 사회적 영향 점수는 강의식 흡연예방교육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t=3.73, P<0.001). 그러나 체험활동 중심흡연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흡연 거절 자기효능감 점수와 비흡연 의도 점수는 강의식 흡연예방교육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초등학교 5학년 대상 체험활동 중심 흡연예방교육프로그램은 ASE 모델 요소 중 흡연 태도를 변화시켰고 사회적 영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재적용한다면 흡연의 저연령화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We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focused smoking prevention (ELSP) program on the basis of the Attitude-Social Influence-Efficacy (ASE) model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with 84 participants who were in the fifth grade of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ngnam city, South Korea. The two schools were allocated into either the ELSP (n=42) or control (n=42) group. The ELSP group completed five ELSP classes, while the control group completed five traditional lecture-based classes during the 5 weeks. Both groups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5 weeks, using ASE measures of smoking attitude, social influence, self-efficacy for the refusal of smoking temptation, and intention not to smok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7. Results: The ELSP group had significant changes in the scores of smoking attitude (t=4.75, P<0.001) and social influences (t=3.73, P<0.001),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ELSP group had non-significant changes in the scores of self-efficacy for the refusal of smoking temptation and intention not to smoke,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ELSP program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smoking attitude and perceived social influence of smoking among those i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However, the duration and intensity of the ELSP program must be revised to effectively enhance smo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non-smoking intentions. Korean J Health Promot 2019;19(2):96-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