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설화 <선녀와 나무꾼>을 재매개한 웹툰과 드라마 <계룡선녀 전>을 통해 설화의 문화콘텐츠화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웹툰 <계룡선녀전>은 설화의 세계관을 확장하고, 조력자에 불과했 던 사슴을 주인공과 갈등하고 교감하는 존재로 설정하였다. 무엇보다 신과 인간의 공존과 세계와 개인의 화해라는 주제의식의 확장을 통해 매력적인 서사를 완성하였다. 하지만 드라마 <계룡선녀전>은 웹툰의 장면 전개 방식과 특징을 답습하였고, 코미디와 로맨스의 강화로 극의 정체성을 모호하게 만들어 설화와 웹툰에서 구현된 감동을 되살리지 못했다. 특히 주제의식의 부재를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설화적 상상력은 문화콘텐츠 창출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설화 는 원형성을 통해 보편적인 감동을 주는 서사로, 다층적인 세계관을 구성하는 서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그 자체가 환상성의 보고이면 서 비현실적 사고를 지속하는 힘이 되어 왔기에, 문화콘텐츠 창조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ossibility of making folklore content through webtoons and dramas that have been rediscovered as narratives <fairy and woodcutter>. Webtoons <Gyeryong Sunyeojeon> have expanded the world view of a lesser known story. This have completed a charming narrative through an expansion on the subject of the coexistence of God and man and a reconciliation of the world and individuals. However, a drama which followed the scenes and features of the webtoon was expressive. Moreover, by strengthening aspects such as comedy and romance, it lost the essence of the original of folktale and Webtoon. There was no concern about the subject of the work. Folktale is a form of narrative that gives us a universal impression through the use of circle formation. It can be used as a narrative that constitutes a multi - layered world view. It is also a report of fantasy itself. It has been a force to sustain unrealistic thinking. We expect it to be actively used in the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