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18세기 후반 조선시대의 재야 학자인 石泉 申綽이 저술한 『詩次故』를 고찰한 것이다. 앞의 시기와는 달리 변화가 가능한 조선후기에서, 신작은 가학에 기반을 두고 정제두와 정조의 우문정책 그리고 청대 고증학의 영향을 받아 경학을 연구한 학자이다. 그는 唐代 이전의 고주를 연구하여 『시차고』라는 저술을 낳은 조선 후기 시경학의 대가라고 할 수 있다. 『시차고』에서 ‘차고’의 의미는 ‘편차하여 훈고하다’ 또는 ‘훈고를 편차하다’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전제 아래 “古로서 古를 바로 잡는다”는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여 고대에 가까운 자료를 선택하기 위하여 『시경』 본문 전체를 周 ‧ 秦에서 당에 이르는 諸家의 주석만을 인용하여 풀이하였다. 또 훈고에 통달하면 해의는 알 수 있게 된다고 보아, 이 방식을 통해 시의 대의를 추적하도록 의도하였다. 그래서 그가 “오랜 것일수록 더욱 귀하고 더욱 증명할 만한 것임을 알 뿐이다”라는 입장에서 보다 철저히 古注에 의한 풀이를 지향한 점을 본고에서 검토하였다. 『詩次故』의 체제상의 특징, 異字고찰, 逸詩채록을 다루고, 해석상의 전제조건으로 賦比興을 구분하지 않고, 篇名을 篇首에 제시, 毛傳의 次序를 수용한 실상을 살펴보았고, 三家詩 제시, 시어 고증을 제시한 신작의 시경해석방법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그러나 『詩次故』는 위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의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音注를 제시하지 않아 독해에 결함이 있는 것은 아쉬운 점이다. 또한 당대까지의 전적만을 고집하여 시의 원형을 복구하고자 한 것은 큰 의미가 있지만 당대이후의 수많은 전적을 누락시킴으로써 『시경』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지 못한 것 또한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결함에도 불구하고 거의 30년을 통해서 이루어진 『詩次故』는 조선조 학술이 획일적인 것이 아니며 시경학상 다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목을 받을만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on "Shichago(詩次故)" written by SeokCheon ShinJak (石泉 申綽), a 18th century undesignated scholar in latter phase of Chosŏn Dynasty. During this time of Chosŏn Dynastic, change in interpretation of KyungHak (Confucian classics) was possible unlike preceding times. ShinJak was a scholar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hose study was based on home schooling while being influenced by Jeong Jae-du, Jeongjo's Umun Policy, and Chung dynasty's bibliographcial study of Chinese classics. It can be said that he is the forefront of Korean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who authored "Shichago(詩次故)" by researching ancient annotations before Tang Dynastic. In the title "Shicago", "cago" can be summarized to mean "to edit according to order and write scholia" or "to edit scholia according to order." With this basic premise, he adopted research methodology of "redressing classics using the classics." In order to select the data from similar era to the original, he only used annotations from timespan of Zhou(周) and Jin(秦) to Dang(唐) dynasty to interpret the entire ShiJing. Believing that if a person fully comprehends scholia, then he/she can find the underlying meaning of literature, he intended the readers to trace the cause of the poetry. ShinJak also stood behind the notion that "works that are older deem themselves more valuable and more worthy of being demonstrated." Therefore, parts of this paper will be examining the way he painstakingly uses only ancient annotation for interpretation. This paper examines features of "Shicago" such as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 consideration of character modification, and its inclusion of deleted poem, its way of not distinguishing Fu, Bi, Xing for interpretation, its way of locating the titles at the beginning of poem, and its accepting the order of MoJeon(毛傳). Interpretation methodolgy of ShiJing of ShinJak who uses Sanjia shi(三家詩), and historical research on poetic words were also examined. Despite the various merits of "Shicago" mentioned above, difficulty in comprehension due to lack of phonetic symbol is one of its shortcomings. Although only using annotation up until Tang Dynastic has great meaning, it is a known fact that it fails to examine ShiJing synthetically due to exclusion of countless annotations after era of Tang Dynasty. Despite these shortcomings, "Shicago", a work that lasted almost thirty year for completion, is worth noting as it represents diversity of both Chosŏn Dynasty's scholarship and Hermeneutics of Shi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