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의 율곡학파의 『주자가례(朱子家禮)』 주석서인 송익필(宋翼弼)의 『가례주설(家禮註說)』과 김장생(金長生)의 『가례집람(家禮輯覽)』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율곡학파의 가례주석서를 통해서 송익필과 김장생의 예학적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다. 과연 김장생의 예학 성립에 송익필은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 『가례집람』 저술에 송익필은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이에 대해 필자는 ‘예의 대한 이해의 방식에서 『가례』를 존신하는 사유’가 송익필에게 강조된다는 사실과 이것이 김장생에게도 계승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이러한 『가례』 존신에 바탕하여 저술된 가례주석서(『가례주설』와 『가례집람』)의 ‘체계・내용의 유사성・공통성’을 분석함으로써 송익필과 김장생 간의 예학적 연관성을 구체화하였다. 인용 문헌 및 내용이 동일한 항목이 많았으며, 또한 몇몇의 경우에는 예 인식 방향성이 매우 유사하였다. 이를 통해 『가례집람』은 송익필의 예학을 참고했으며, 송익필은 김장생 예학 성립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Paper is research for Song Yikpil(宋翼弼, 1534-1599)'s Garyejuseol(家禮註說) and Kim Jangsaeng(金長生, 1548-1631)'s Garyejipram(家禮輯覽), Yulgok School's commentaries of Zhuxi's Family Ritual from the end of 16th century to the first part of the 17th century. Especially it inquires into relation between Song, Yikpil's lixue of Kim, Jangsaeng's lixue. What role did Song, Yikpil serve as the setting for Kim Jangsaeng's lixue? What influence did Song, Yikpil have Kim, Jangsaeng's Garyejipram? First of all Both Song, Yikpil and Kim, Jangsaeng share trust and respect of Zhuxi's Family Ritual. Second, Song, Yikpil and Kim, Jangsaeng's the commentaries of Zhuxi's Family Ritual have common format and contents. There were many item of Zhuxi's Family Ritual in the cited literature and contents, and in some cases, the cognitive direction of recognition was very similar. This differs from the other commentaries of Zhuxi's Family Ritual of the day. In short, Kim, Jangsaeng's Garyejipram refered to Song yikpil's lixue and Song yikpil provided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Kim, Jangsaeng's lix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