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조직이 공유하는 특성을 이념형 사회적기업 특성으로 가정하였다. 이념형 사회적기업 특성은 복합목적, 다중이해관계자, 복합자원동원이다. 이들 특성의 구조적 관계를 시스템 이론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목적과 다중이해관계자의 상위시스템과 하위시스템의 관계는 타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복합목적과 복합자원동원에 대한 다중이해관계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복합목적이 복합자원동원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정적(+)이었고, 다중이해관계자를 통해 미치는 간접효과(매개효과)는 부적(-)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경제 조직을 평가할 때 시스템 관점에서 다양한 상·하위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어느 한 프로세스에만 초점을 맞추면 본질적인 기능을 포착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다중이해관계자 특성이 복합자원동원으로 이어지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중이해관계자 매개효과가 부적(-)으로 나타나 시스템의 약한 고리로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사회적경제 상·하위 시스템이 정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종합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시스템으로서의 사회적경제 조직은 복잡한 기능 중 어느 한 부분이라도 약해지면 부정적인 파급효과로 지속가능성에 위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ssumes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s ideal-type social enterprise. Its characteristics are multiple goals, multiple stakeholders, multiple resource mobilization.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m are identified from systems theory perspective. The findings are like followings. First of all,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erordinate systems and subsystem of multiple goals and multiple stakeholders are verified. In the second place, mediating effects of multiple stakeholders on multiple goal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multiple goals on multiple resource mobilization(direct effect) is positive and mediating effects of multiple stakeholders(indirect effect) is negative. Suggestions based on findings are like followings. Firstly, comprehensive evaluation is necessary by considering all system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from the view point of systems theory. Focusing only on specific system can fail to understand essential function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Secondly, multiple stakeholders needs to improve multiple resource mobilization. It is weak systems due to negative mediating effect. Finally, positive feedback of all systems are necessary. If a part of systems is weak, then organizations sustainability can be at r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