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박태원의 첫 장편인 『청춘송』은 1935년 <조선중앙일보>에 연재되다가 중단되어 미완으로 남은 작품이다. 이 작품의 연재가 중단된 것은 작품에 대한 독자들의 항의로 인한 것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청춘송』이 독자에게 흥미를 주지 못했다면, 그것은 자못 흥미로울 수도 있었을 여러 청년들의 연애담이 오히려 그 전개의 지지부진함과 정념의 어긋남으로 인해 서사에 긴장감을 부여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어긋나고 지연되는 연애로 인하여 고립되고 고독감을 느끼는 인물들의 이야기는, 박태원 소설의 본령과도 같은 것이다. 『청춘송』의 주인공들은 일본 상권의 핵심이던 미쓰코시와 미나카이의 내부로 거침없이 진입한다. 이들은 이 혼부라를 근대적 청년의 조건과도 같이 생각하였다. 청계천을 경계로 하여 조선인들이 거주하는 북촌과 일본인들이 활동하는 남촌으로 나뉘어져 있던 당시 경성의 도시구획에서 미쓰코시, 미나카이, 조지야 백화점 등이 모여 있던 남촌은 근대 자본주의의 화려함을 보여주는 진열장과도 같았다. 명숙과 향훈을 비롯한 등장인물들은 이 본정통의 중심으로 자유롭게 활보하고 미쓰코시와 미나카이와 조지야의 상품들과 옥상정원을 드나들며 연애를 탐색하기 시작한다. 『청춘송』은 박태원 작품의 특징인 사소설적인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박태원의 단편들에 나타났던 작가와 주변인물들의 맨얼굴에 대한 차용은 이 작품에서도 엿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개인의 신장과 자아의 발양이 그대로 인류의 의지와 통한다고 사고하는 주체의 대담한 자기표백적 문학’인 사소설 양식의 영향을 드러내는 것이다. 여기에는 또한 식민지 청년의 일상을 옥죄고 있던 당대 식민권력의 규율의 작동이 유감없이 제시되고 있다.


Park Tae-won's first feature, “Song of youth”, is an unfinished work that was suspended in 1935 in The Chosun Joongang Ilbo. It is known that the interruption of this work was due to protests by readers about the work. If the youth song Song did not interest the reader, it might be because the love stories of the young people who might have been interesting might not be able to give tension to the narrative because of the lack of support of the unfolding and the deviation of the mind. However, the story of characters who are isolated and lonely because of delayed and delayed love is the same as that of Park Taewon Novel. The main characters of the “Song of youth” enter the inside of Mitsukoshi and Minakai which were the core of the Japanese commercial area. They thought of this walk(Honbura) as the condition of a modern youth. Namchon, Minakai, and Georgetown Department Stores, which were divided into Bukchon where the Koreans reside and Namchon where the Japanese are active, were divided into Cheonggyecheon as a boundary, and it was like a showcase showing the splendor of modern capitalism . The characters including Myeong Sook and Jonghoon walk freely at the center of this orthodoxy and begin to explore love through the products of Mitsukoshi, Minakai and Georgian, and rooftop gardens. “Song of youth” regretfully shows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Park Tae-won's work. The borrowing of the face of the writer and the surrounding characters that appeared in the fragments of Park Taewon is also praised in this work. This tendency is to reveal the influence of the "self-bleaching literature", which is the bold, self-bleaching literature of the subject who think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are the same as the will of mankind. There is also a resurgence of discipline in the colonial power of the day, which was condemning the daily life of the colonial yo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