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교우촌 시대의 교리서에 나타난 하느님 이해와 신앙교육’이라는 주제 하에 정약종 아우구스티노의 『주교요지』를 기초신학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한역서학서와 『주교요지』를 비교하는 최근 교회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교요지』의 독창성뿐 아니라 그 안에 담긴 교리교육적, 신학적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신 인식’의 측면에서 분석할 때, 상편과 하편으로 구성된 『주교요지』는 하나의 일관되고 통일성 있는 작품으로 드러난다. 상편에서 ‘피조 세계 안에서의 신 인식론’을 펼치고 있다면, 하편에서는 ‘구원의 역사 안에서 신앙의 신 인식론’을 펼치고 있다. ‘보유론’의 입장에서 그리스도 신앙 교리에 접근하기보다, 교리 내용을 당시 조선인들의 체험과 연결시켜 설명함으로써, 체험 세계에서 출발하여 진정한 하느님 인식에 이르는 길을 구체적으로 모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편에서는 ‘자연적 신 인식’ 곧 피조 세계 안에서 하느님에 대해 자연스럽게 갖게 되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천주존재 증명’과 '타종교 비판'을 통한 그 인식 대상의 구체화를 거쳐 신 인식의 윤리적, 종말론적 측면까지 펼치고 있다. 하편에서는 신앙의 신 인식의 대상인 구원의 역사 특히 그리스도의 지상 여정을 접하게 함으로써, 상편에서 개진한 신 인식론이 보다 그리스도 중심적, 파스카 중심적으로 정향되도록, 나아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느님 아버지의 자비로운 사랑을 만나 그리스도를 따름에 온 삶을 봉헌하는 신앙으로 나아가도록 인도하고 있다. 정약종의 『주교요지』는 선교적 쇄신을 고민하는 가톨릭교회에 중요한 비전을 제시한다. 곧 이 시대 사람들에게 영원한 생명의 길과 ‘지금 여기서’ 가능한 하느님 나라를, 체험의 영역에서 알아들을 수 있는 현실적인 방식으로 제시하도록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This essay attempts to analyze the Chu-Gyo Yo-Ji, Korean catechism written by Jeong Yak-Jong Augustin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fundamental theology. On the basis of some recent historical researches comparing the Chu-Gyo Yo-Ji with Chinese catechisms written by Western writers at that time, this essay tries to examine not only the originality of the Chu-Gyo Yo-Ji but also its catechetical and theological intention. Analyzed from the aspect of ‘knowledge of God’, the two volumes of the Chu-Gyo Yo-Ji seems to be a coherent and unified work. While its first volume explores ‘a knowledge of God in the created world’, its second volume represents ‘a knowledge of faith in the history of salvation’. Instead of approaching the doctrine of the Christian fai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nalogy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the Chu-Gyo Yo-Ji is marked by the intention of explaining the content of faith in connection with the experience of the Chosun people at that time, thus leading them to a true knowledge of God in a concrete way. The first volume starts from the ‘natural knowledge of God’, the knowledge of God that man naturally has in the created world, to the moral and eschatological aspects of the knowledge of God by way of the concretization of the object of this knowledge through ‘proofs of the existence of God’ and ‘criticism of other religions’. The second volume considers the object of the knowledge of God in the faith, namely the history of salvation inscribed in particular in the earthly itinerary of Jesus Christ. In this way, this catechism situates the natural knowledge of God developed in the first volume in a truly Christocentric and paschal perspective. By this, it intends to lead man to an intimate and real encounter with the merciful love of God manifested in Jesus Christ, finally to a faith that gives himself totally following Christ. Jeong Yak-Jong's Chu-Gyo Yo-Ji seems to provide an important vision for the Catholic Church today that wants to carry out its missionary reform. It presents today’s people to experience the way to eternal life and the Kingdom of God ‘here and now’ in a real and intelligible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