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화 제약의 중요성 인식과 독립적 / 상호 의존적 자기 해석의 성별 차이를 밝히고 독립적 / 상호 의존적 자기 해석이 대화 제약 중요성 인식의 성별 차이를 야기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K 대학 재학 중인 320명의 학부생들(남녀 각각 160명)의 설문 조사 분석을 토대로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남성 참가자들은 여성들에 비해 명확성에 대한 고려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여성 참가자들은 남성들에 비해 화자의 기분에 대한 고려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해석에 있어서 남성 참가자들은 독립적 자기 해석이 상호 의존적 자기 해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대로 여성 참가자들이 상호 의존적 자기 해석 높다는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남녀 그룹 모두에서 독립적 자기 해석과 명확성, 상호 의존적 자기 해석과 청자의 기분 및 부정적 평가 사이의 인과관계가 도출되었으나 이러한 경향은 남성 그룹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in independent /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interactive constraintsl, and find if self-construal can work as a factor that causes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interactive constraints. It was examined by a data analysis from a survey of 160 male and 160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male participants tended to perceive concern for clarity more importantly than female participants and female participants tended to concern the hearer's feeling more importantly than their counterparts. Also, male participants viewed themselves more independent than female participa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vidence that female participants viewed themselves more interdependent than their counterparts. For both groups, causality between self-construal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interactive constraints was examined and the tendency was more prominent among male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