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의 삼농 전문가들은 인구 과밀과 토지와 자원의 과소라는 국가상황을 통해 소농경제를 옹호하고 토지의 사유화에 반대하며 현재의 토지도급제를 지지한다. 또한 소농이 시장의 힘에 대응하기 위해서 향촌의 자치와 조직화를 강화해야 하며, 국가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중국의 국가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서구의 폭력적인 일반화를 그대로수용하는 주장을 이데올로기화된 ‘주류’로 규정한다. 그러나 ‘주류’의 원조로 비판 받는 슐츠는 사실 삼농 전문가들이 비판하는 만큼 신고전파적이지 않았다. 오히려 슐츠의 이론은 주류 이론의 대상이 아니었던 농민, 농업, 농촌을 통해 이론이 변주되는 모습을 드러낸다. 또한 이러한 차이를 신고전파, 신자유주의 ‘주류’로 획일화하는 삼농전문가들의 비판 또한 이분법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Chinese experts on three rural aspects(Sanongzhuanjia) advocate the traditional peasant economy through the national conditions of overpopulation and severe shortage of land and resources, oppose the privatization of the land, and support the current land contract system. They also argue that peasants need to strengthen the autonomy and organization of local villages in order to cope with the market power and that the state should intervene into rural affairs. They define arguments that accept violent generalizations of the West as ideological ‘mainstream’ without considering China’s national conditions. However, Theodore W. Schultz, who was criticized as a leading and original figure in the ‘mainstream’, was in fact not so as neoclassical as they criticized. Rather, his theory reveals the changing aspects of theories through peasants,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at are not the subject of the ‘mainstream’. It also shows that the criticism of the experts who unify these differences into neoclassical‘mainstream’ could be dichotomous and ideolog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