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실크로드의 역사교육적 의의에 대한 논의, 중학교‘역사’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그리고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실크로드 관련 내용 분석이라는 3가지를 수행하였다. 하나, 실크로드의 역사교육적 의의에 대한 논의는 크게 두 가지에 집중되었다. 전자는 근대 지정학에서 실크로드 지역이 매우 중시되었다는 점과 최근 러시아와 중국 등에 의해 새로운 실크로드가 건설되고 있다는 점을 통해 그 중요성을 재인식하는 것이다. 후자는 역사에서 서로 다른 문명 간 교류가 갖는 의의와 그것을 학습하는 것의 교육적 의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역사교육에서 실크로드는 좋은 학습내용(교재)이라는 것을 드러내는 것이다. 둘, 한국에서 2010년, 2015년, 2018년에 개정된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 은 한국사와 세계사의 통합 구성을 지속적으로 시도하였다. 본고는 이 세 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해 다음의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세 교육과정은 상호교류를 통해 인간의 삶이 향상되고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는 과정을 학습하게 한다는 공통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었다. 둘째, 현 단계에서 한국사와 세계사를 연관시키는 방법으로는 결국 선 세계사학습 후 한국사학습이라는 원리이상의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셋, 2010 개정과 2015 개정‘역사’교과서의 실크로드 관련 서술 내용 분석을 통해 다음의 것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2015 개정 교과서가 실크로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서술을 하고 있으며, 근세 이후의 교류사실도 두루 서술하고 있었다. 둘째, 두 교과서 공히 고대와 중세 시대에는 실크로드가 동서양 문화교류에서 중요한 기능을 했던 사실을 비교적 상세히 다루고 있으며, 특히 한국사의 삼국시대에 실크로드를 통한 문명간 교류의 역사적 사실을 서술하고 있다. 셋째, 두 교과서 모두 실크로드를 통한 교류 사실을 단순히 소개하는 수준이 많고, 조선시대 이후 문명 간 교류가 완전 차단되었던 것 사실과 그 의미를 충분히 서술하지 않아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관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In this study, three subjects were discussed: the discussion on the significance of Silk Road in Korean history educati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 history, and the analysis on content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with silk road related. Firstly, the discussion on the significance of the Silk Road in Korean history education was concentrated on two major points. The former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Silk Road area in the modern geopolitics, and the importance of the new silk road being built by Russia and China recently. The latter reveals that the Silk Road in history education is a good learning material (textbooks) b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interchange between different civilizations in history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learning it. Next, the revised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in 2010, 2015, and 2018 continuously tried to integrate Korean history with world history. In this paper, two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comparison of these three curriculums. First, the three curriculums set a common goal of learning the process of improving human life and forming a new culture through mutual exchange. Second, I found that the method of linking Korean history with world history in the present stage is not more than the principle of learning Korean history after learning of world history. Finally, I have analyzed the content of books related to Silk Road in 2010 and 2015 revised 'history' textbooks as follows. First, the revised textbook of 2015 ha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description about Silk Road. And it is also describing the exchanges after the early modern period. Second, two textbooks describe in detail the fact that Silk Ro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ancient and medieval times. And the two describe the historical facts of interchange between civilizations through the Silk Roa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Korean history. Third, both textbooks have a lot of information to introduce the exchanges through the Silk Road. But as the two also do not fully explain the fact that there was no interchange between civilizations since the Chosun Dynasty and the significance of no interchange between civilizations, the students can not fully understand the connection between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