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인 고려인 4세 학생에게 나타난 정체성 변화과정을 사회수업을 중심으로 일년 동안 내러티브탐구 한 것이다. 연구참여자인‘샤샤(가명)’는 우즈베키스탄에서 한국으로 올 때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왔지만 한국에서 삶의 다양한 경험과 사회수업을 통해 정체성의 변화를 겪게 된다. 샤샤에게 사회수업은 같은 민족의 역사를 배우며 한국인 정체성을 인증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이자 한국의 사회제도와 자신이 처한 현실 사이에서 정체성을 고민할 수 있는 촉매제였다. 일 년 동안 샤샤에게 나타난 삶의 경험들은 사회수업을 통해 재해석되며 정체성변화에 영향을 주었고 연구의 마무리 시점에는 스스로의 정체성이 다른 것에 의해 규정되어지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되는 것에 이르렀다. 사회수업은 샤샤에게 의미 없이 지나 칠 수 있는 삶의 경험들을 정체성과 연결시켜주는 기회와 맥락을 제공하였고 이는 정체성의 변화로 이어지게 되었다. 샤샤의 이야기는 고려인 4세들이 한국에서 경험하는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생생하게 들려줌으로서 앞으로 사회과가 고려인 초등교육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into a year of the identity change process in Fourth Ethnic Korean Generations students in sixth grade regarding their social studies lessons. 'Shasha' came to Korea from Uzbekistan, and her identity has been shaped by various experiences and social studies classes in Korea. For Shasha, elementary social studies lessons were an objective indicator for authenticating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and learning about their history, and they were a catalyst for the identity between Korea's social system and the realities of its own, and her identity is not definedby another. The life experiences that Shasha underwent for a year were reinterpreted through social studies lessons and influencedthe change of identity, and at the end of the study, Shasha came to find that her identity was not defined by anything else. Social studies lessons provided opportunities and context to connect Shasha with experiences that could be passed over to meaninglessly, leading to a change of identity. The story of Shasha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to help think about what kind of role social studies education plays in elementary education by vividly listening to the concerns of the identity experienced by the The Fourth Ethnic Korean Gen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