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사회탐구를 위해 엄숙함과 근엄함, 진지성을 유지하는 교과라는 인식이 강한 사회과가 정말‘웃음’과 거리가 먼 교과인지 되짚어보고, 사회과에서의‘웃음’은 어떤 성격을 가졌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웃음의 스펙트럼을 살펴보고 어떻게 할 때 웃음이 발생하는지 그 생성요건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웃음에 관한 고전 이론은 우월이론과 불일치이론이 대표적이며, 현대에 들어 Bergson의 웃음이론 등으로 발전하였다. Bergson은 웃음이 어디에서 오는가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형태, 움직임, 상황, 말, 성격의 희극성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형태, 움직임에 의한 웃음이 어린이들의 밝고 따뜻한 웃음과 관련성이 높지만, 그것만으로 사회과 교실에서 지향해야 할 웃음의 모든 것이라 규정하기는 힘들다. 이에 사회과에서만 나타날 수 있는 웃음의 성격에 대해 Bergson의 상황, 말, 성격의 희극성을 기준으로 탐색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과다운‘웃음’의 성격을 다음의 차원에서 규정하였다. 첫째, 사회과의 내용 요소들 속에는 자기 자신을 순간적으로 객관화시킴으로써 일어나는 반성적인 멋쩍음에 의한 방심의 웃음, 이론과 현실의 불일치, 그리고 그에 대한 동조의 웃음 등‘상황의 희극성’에 기초한 사회과의 웃음은 통찰적인‘일깨움’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둘째, 사회과 수업에서 활용되는 교과서(지문, 삽화, 사진)가 지닌 표현(말)의 희극성에서 유발된 웃음은 텍스트로써 사회과의 웃음은‘재미’의 성격을 가진다. 셋째, 사회과 내용의 성격에 의한 웃음은‘해학과 풍자’의 성격을 가진다는 점을 추론하였다. 그러므로 사회과는 심각한 사회탐구의 교과가 아니라 웃음의 성격을 한껏 내포한 교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과에서‘웃음’의 성격들이 잘 발현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교과서, 학습 방법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실천들이 이루어진다면 어린이의 생태성이 발현되는 밝은 사회과 교실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comic’ in social studies classroom which has long been recognized as strong awareness of solemnity, persistence and sincere application of social inquiry. For purpose abov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various theories of humor as well as the meaning of comic in the classroom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mong them, the classical theory of humor had been represented by the theory of superiority and inconsistency. In modern era, Bergson's comic theory explains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mic and classification of comedy: which has been widely applied in actual educational practice. During the research, this study also has tried to find out how the Bergson 's meaning of comic is to be applied in social studies upon comivacy classif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comic' in social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laughter that reflects the learners through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makes them cheerful and makes them sympathetic to such situations has the character of 'wake up'. Second, the texts used in the social studies class have the character of 'fun'. Third, the nature of social phenomena covered in social studies can be expressed as 'humor and satire'. Then, it shall come to bring bright learning environment back to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which results students’ willingness for genuinely expression of their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upon the learning 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