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가족해체, 불안정한 고용 증가 등으로 인한 아동빈곤이 초래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현실에서 빈곤가구 아동을 위한 사회적 보호의 필요성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는 ‘제4차 한국 아동 삶의 질에 관한 종합지수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잠재 프로파일 분석(LPA; latent profile analysis)과 다항 로지스틱 분석(multinomial logistic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 삶의 질 지수’는 ‘상’, ‘중상’, ‘중하’, ‘하’의 4개 잠재 프로파일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가족유형을 소득수준(빈곤/비빈곤)과 가족구조(양부모/한부모・조손・기타 등)를 기준으로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라 아동 삶의 질 유형에 속할 확률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가족빈곤과 가족해체가 결합된 ‘빈곤-한부모 등’ 가족은 ‘비빈곤-양부모’를 비롯한 다른 가족유형에 비해서 아동 삶의 질이 낮은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아동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하여 아동뿐만 아니라 양육자에 대한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다각적인 사회서비스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The child poverty is caused by increasing family dismantling and unstable employment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well-being, poverty, and family structure, using data from the fourth wave of the Korean Survey of Child Wellbeing.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four class of children, reflecting high, highmoderate, moderate-high, low patterns of child well-being index. We then investigated the poverty and dismantling of their family affect child well-being index across classes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latent classes of child well-being index according to four family types. Children in poor and single parent family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lower class of child well-being than the other family typ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targeted social protection services for children in poor and single-parent family, based on the universal child care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