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 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 및 회복탄력성이 행복감과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지역예비유아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V.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 대학생활만족도는 대체적으로‘보통’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행복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감의 6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대학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감의 6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삶의 질과연관된 변인인 행복감과 대학생활만족도에 중요한역할을 하는 요인임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과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양성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의 증진이 필요하며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효율적교육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resilience to happiness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PSS V.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resilience, happiness,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we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normal'.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lience and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higher the level of happiness. Also, resili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and 69% of happines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of resilienc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Also, 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68% of happi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il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ves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happiness and th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which are related to quality of lif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