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경상도 상주의 향리 가문 출신의 이명구(李明九)는 1874년에 7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그로부터 34년 후 조선왕조는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그 동안 조선왕조는 근대 체제로 이행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구체제의 오랜 표상인 관(官)과 이(吏), 유(儒)와 이(吏)의 이분 구도도 해체의 길을 걸었다. 그리하여 천년 가까이 지속되어 온 향리(鄕吏) 제도도 종언을 고했다. 그렇지만 이들의 후손들 중 근대 엘리트들이 다수 배출되었는데, 그 범주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영역에 걸쳐 있다. 이들의 인구 비율을 생각한다면 분명히 주목할 만한 역사적 변동일 것이다. 향리들에 대한 차별에 맞섰던 이명구가 이러한 미래의 변동을 목격했다면 어떻게 생각했을까? 이명구가 향리의 역사서 『연조귀감(掾曹龜鑑)』을 출간하고 그 속편(續篇)을 편찬하여 향리 등 이서들에 대한 차별을 철폐할 것을 주장한 19세기 중반 이후 향리 등을 둘러싼 환경은 오히려 더 악화되어 이명구는 1862년에 농민 봉기 과정에서 자신이 속한 향리 집단 등이 중요 타도 대상에 오른 현실을 목격하여야 했다. 따라서 이명구는 조선왕조의 종언은 물론 향리 가문에서 근현대 엘리트들이 다수 배출되는 새로운 변동은 상상조차 하지 못했을 것 같다. 속편(續篇) 작업은 마무리되지 못했고 이명구는 회한 속에서 눈을 감았다. 이 연구는 『연조귀감속편』 작업이 이명구의 미완성 프로젝트로 그친 사실에 주목하면서 그 내용 및 특성을 그의 새롭게 밝혀진 행적과 연관 지어 추적하고 있다. 『연조귀감속편』은 향리만이 아니라 역리(驛吏)와 진리(鎭吏) 등 다양한 층위의 지방 이서(吏胥)들과 이들 집단의 여성들로 수록 대상을 확대하는 한편 동 시대의 중요 이서들과 이들의 가문들에 초점을 맞춘 점에서 『연조귀감』과 구분된다. 이러한 특성들은 선행 연구들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했다. 19세기 중엽 이후 향리들을 둘러싼 급변하는 사회 환경은 이명구로 하여금 속편 프로젝트에 더 이상 집착하지 않도록 이끌었다. 그리고 그는 회한 속에서 그의 평생 작업을 포기했다. 그런데 근현대 이후 새로운 엘리트들 중 다수가 두 번째 역사서에 수록한 향리 가문들의 후손들에서 배출된 것은 아이러니일 것이다. 『연조귀감속편』은 19세기 후반 한국의 역사가 예측 불가능한 상황으로 들어가고 있음을 시사하는 징표이기도 한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historian Yi Myunggu’s lifelong intellectual journey and clarifies the historical meaning of his second history book Yeonjokwigamsokpeon. The book dealt with three kinds of local clerk classes but its publication was not completed. In the 19th Century of Korea. the number of intellectuals who became a Confucian scholar despite their local hereditary clerk family background increased. Yet they had to face social barriers and their desire toward social up mobility had to be frustrated. Yi Myunggu was the same case. Yi Myunggu’s book reveals his endeavor to overcome social status discrimination. The book contends that local clerk class and Yangban elites class dated back to the same ancestors in origin, which were only divided as time passed by. His second history book Yeonjokwigamsokpeon covers not only local clerks but also station clerks and military clerks, highly esteeming them in their important roles in local society. Although the social status of his family was somewhat superior to those of station clerk and military clerk, the book reflects Yi Myunggu’s strong solidarity with these two classes. More importantly, descendents of the contemporary clerk families described and recorded in the second book composed a group of new elites in local society of Korea’s modern era of the 20th century. Without foreseeing the upcoming transformation of the social class of clerk families in modern Korean society, Yi Myunggu died in despair. Yeonjokwigamsokpeon is another confirmation that Korea went through unpredictable political and social turmoil in the late 19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