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요한복음의 인자 기독론을 에녹1서에 나타난 고대 유대교메시아 인자 사상과 비교 검토한다. 에녹1서에서 인자로 등장하는 메시아와 요한복음에서 로고스로 등장하는 인자의 관념적 유사성에 비교의 초점을 맞춘다. 두 책에서 인자는 모든 피조물보다 먼저 존재하는 신명(神名)이며, 악에 대한 창조주의 주권을 실현하는 최종적 심판자로서 이중적 영화(榮化)의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요한복음이 “비유서”의 영향을 받았다고판단하거나, 요한의 로고스 “인자”가 “비유서”의 메시아 인자에 신학적으로 의존했다는 주장은 성급하다. 요한복음 로고스 인자의 신적 지위가 성부 하나님과 동일한데 비하여, 에녹1서 메시아 인자의 신적 지위는 이스라엘 하나님과 동등한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요한복음의 로고스인자는 하나님의 백성을 위한 대속의 죽음을 통해 두 번째 영화를 시작한다. 구원론에 있어서도, 에녹1서의 유대인 청중과 독자는 종말의 낙원에서 인자를 예배하는 중 천사적 존재가 되는 존재론적 변형을 기대하지만, 요한복음의 그리스도인들은 로고스 인자와 그의 아버지의 거룩하고 완전한연합 안으로 들어가 로고스의 영광을 보는 은혜를 갈망한다. 에녹1서와요한복음의 선재적 구원자의 “인자” 호칭과 그 형상화는 근본적으로 다니엘 7장이 예언한 하나님 나라 군왕으로서 인자 사상에 근거한 고대 이스라엘의 유일신론적 메시아 전통을 보여준다고 평가해야 한다.


In this essay the present author explores the Logos Son of Man of the Gospel of John in comparison with the Messiah Son of Man of the Ethiopic Book of Enoch (1 Enoch). The main concern is with the conceptual kinship between the Messiah Son of Man in 1 Enoch and the Logos Son of Man in John,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ological authenticity of John’s Christology. In both 1 Enoch and John the Son of Man figure is portrayed as the divine Name that exists prior to all other creatures, enacts the Sovereign’s ultimate judgment on the last day, and undergoes double glorification through the salvific course of history. This ideological affinity, however, does not guarantee the literary dependency of John’s Christology on the Enochic messianology. While the Logos Son of Man in John is equivalent in quality with his Father God, the Messiah Son of Man in 1 Enoch is a lesser divine being than his God. Also, the second glorification of the Johannine Son of Man is characteristic of his eschatological redemption of God’s people. In terms of soteriological vision, the audiences/readers of 1 Enoch are expected to become an angelic being through their ontological transformation at their worship of the Messiah Son of Man, whereas the redeemed people of John’s Son of Man a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mystical union between the Father God and the Son of Man, whose glory is allowed to be seen only by the redeemed people. It appears proper to say that the Son of Man in Daniel 7 functions as the common source of both 1 Enoch and John, which adopt in two separate modes the messianic title “Son of Man” and demonstrate their own particularized understanding of the fig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