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이만집(李萬集) 목사의 글 “第二國民의 養成”에 나타난 기독 교교육의 관점을 분석하려는 데 있다. 그는 에베소서 6장 4절에 기록된 “또 아비 들아 너희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고 오직 주의 교훈과 훈계로 양육하라” 이 구절을 본문으로 설정하여 이 글을 작성했다. 이만집의 기독교교육에 대한 관점은 단지 “第二國民의 養成”을 통해서 알 수 있고, 이 글은 『宗敎界 諸名士 講演集』(1922) 에 게재되었다. 제3장에서는 이만집이 생각한 기초적 영적 교육으로서의 기독교교육 원리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폈으며, 그 원리들로서 태교와 덕육(德育), 영적 교육의 확고한 모토, 영적 교육의 심오한 좌소(座所)로서의 마음, 구술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등에 대해 정리할 것이다. 제4장에서는 에베소서 6장 4절에 대한 이만집의 사적인 해석을 다루고자 한다. 그는 에베소서 6장 4절 말씀에 기초하여 ‘롤모델로서의 아버지상’, ‘다정다감한 교사 로서의 아버지상’, ‘존경스런 지도자상’으로서의 바람직한 아버지상을 제시한다. 제5장에서는 <내연(內燃)>으로서의 ‘영적 교육’과 <외연(外延)>으로서의 ‘애 국심’이라는 실천적 패러다임을 설정하고 이 점에 주안점을 두어 살펴볼 것이다. 이만집은 애국심을 실천하고자 하는 투철한 신념으로 기독교교육과 애국심과의 조화, 그리고 기독교교육과 민족복음화의 일치에 대해 강조한다. 무엇보다도 그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신성한 의지로 우리 한반도에 민족복음화를 구현하실 것이라고 고백한다. 부연하여, 본 연구자는 향후 이만집의 기독교교육관 사상과 관련된 연구가 더욱 확장되어 이 주제의 연장선상에서 ‘기독교교육과 국가정체성’, ‘기독교교육과 삼일독립운동’, ‘기독교교육과 국가관’, ‘계성고보(啓聖高普) 교육사역’이라는 연구주제로 연계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Man-Jip Lee’s view of Christian education in his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for Christian Children.” This text is based on Ephesians 6:4. “And, fathers, do not provoke your children to anger; but bring them up in the discipline and instruction of the Lord.” Lee’s view of Christian education is based solely on his work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for Christian Children” published in Jonggyogyeoi Jemyeongsa Gangyeonjip (1922). In chapter 3, I attempt to explain Lee’s basic principle of Christian education as a spiritual education such as prenatal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the solid motto of spiritual education, the heart as the deep seat of spiritual education, the spiritual education based on the Gospel,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oral education, and so forth. In chapter 4, I treat with Lee’s private analysis on Ephesians 6:4. On the basis of this passage, he suggests desirable images of father such as the image of father as a role model, the image of father as an affectionate teacher, the image of father as a respectable leader. In chapter 5, I concentrate on practical paradigms for ‘spiritual education’ as <internal combustion> and ‘patriotism’ as <external extension>. Lee lays great emphasis on the consistency of Christian education and patriotism, and the unity of Christian education and national evangelism with a genuine belief in practice of patriotism. First of all, he confesses that God will achieve the national evangelism on the Korean Peninsula by His divine will. In addition, I suggest future extensions of this research into Man-Jip Lee’s other views of ‘view of Christian education’ such as Christian education and national identity, Christian education and Samil Independence Movement, Christian education and view of state, educational ministry in Gyae-seong-go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