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산탄지역의 지역사회 재활성화 추진에 있어서 일본 쿠시로 산탄지역의 재활성화 관련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지방 정부, 석탄사업 운영기업, 관련 연구 전문가 집단의 역할 및 사업 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일본 중앙정부의 산탄지역 재활성화 추진 관련 법제도 구축과 해당 지방정부인 홋카이도·쿠시로시 정부의 산탄지역 진흥정책 시행, 둘째, 타이헤이요탄광을 계승한 쿠시로콜마인(KCM)의 산탄지역 재활성화 관련 사업 운영, 셋째, 산탄지역의 ‘근대 산업발전 유산으로서의 석탄산업 관련 자료 보존’ 및 ‘탄광 기억의 전승’과 관련한 연구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하는 민관 연계·협력의 공동연구 사업 추진 등 세 가지 측면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한국형’ 폐광지역 지역사회 재활성화 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모색과 향후 방향성 논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의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산탄지역 재활성화와 관련한 법제도 설계에 기반을 두고 산탄지역 재활성화 관리체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고, 둘째, 산탄지역의 역사·인문·사회적 배경과 맥락을 고려하여 지역 자체의 특색 있는 산탄지역 재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셋째, 정부 주도의 산탄지역 재활성화 사업 추진의 틀에서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민관 연계협력 모델을 통해 산탄지역 재활성화 사업을 추진하는 등 무리한 개발사업의 추진보다는 도시재생을 통한 지역 재활성화에 더욱 주안점을 두고 있음이 확인된다.


This study reviewed the role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coal-mining business operators, and related research expert groups in the regeneration projects for coal-mining regions in Kushiro, Japan.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this study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he Kushiro Regeneration Model that has been promoting coal-mining regions and communities regeneration projects, not only by utilizing region-cultural resource and coal-industrial heritage, but also by carrying out discovery,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n the memory of coal mine. Lastly,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political implications for discussing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revitalization of Korea’s abandoned coal-mining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