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책과정에서 시민의 참여는 정책 설계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기존 정책에서 새로운 정책으로 변화시키는 변동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의 많은 연구들이 시민참여의 정책과정에서 환류효과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특히 집회 및 시위와 같은 비 통상적인 참여행위가 급증가하고 있는 현 시민사회 모습을 비추어 봤을 때,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는 시민참여가 각 유형별로 어떠한 경로와 기제를 통해서 정책변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제도적 기반 구축부터 시민참여를 통해 발전된 동물보호정책을 분석사례로 선정하여, 시민참여와 정책변동과정을 분석하였다. 정책환류이론에서 제시하는 대중의 정책 매커니즘을 바탕으로 기존 정책이 시민참여에 미치는 인과기제를 분석틀로 구체화하여 살펴본 결과, 동물보호정책은 자원효과와 정책 집행차원의 해석효과에 긍정적인 성과가 있었으며 시민들은 부정적인 정책신뢰감과 긍정적인 정치효능감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책 환류 효과로 인해, 개인행태의 통상적인 시민 참여활동은 가시적으로 지속적 강화되었으며 공식적, 비공식적인 집단적인 행태의 참여 역시 모두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동물보호정책은 동물보호·복지의 선택적 적용에서 보편적 적용 및 확대로 정책패러다임이 전화되었으며 새로운 정책이 집행되는 시기에도 자원효과와 해석효과는 계속 발생하며 시민들의 참여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었으나 이전보다 긍정적인 정치적 태도를 형성해가고 있으며 통상적인 활동 위주로 참여유형이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mechanism of policy feedback for mass politics and policy change through a case study of resource effects and interpretive effects of animal protection policy. Citizens have become a main policy actor since the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improve civic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Civic participation has been a critical factor for policy change and is described as policy feedback in international journals. Policy feedback theory focuses on how policy shapes politics and shows the mechanism for civic participation drawing on resource effects and interpretive effects of policy. It explains how original policy influences policy trust and political efficacy and causes citizen participation for policy change.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feedback and civic participation, we created a sophisticated analysis framework for the feedback mechanism and conducted a case study of animal protection policy using survey data and new big data. The selected case is in the participatory policy field and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animal protection policy has been driven by NGOs and other civic organizations in conjunction with governmen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riginal policy has good resource effect but less interpretive effect. Many civic groups have been established and citizens have shaped positive political efficacy while showing negative policy trust. Second, more citizens are mobilized steadily at the individual level for conventional civic participation, while at the group level, non-conventional civic participation grows rapidly just before policy change. This means a high level of political efficacy and a low level of policy trust has different effects on various types of civic participation. This paper indicates that original policy and civic participation can be also important factors for policy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