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전쟁이후 한국 자유주의의 대표적 텍스트로 인식되고 있는 『사상계』는 시기별로 그리고 그 인적구성 및 사상내적으로 다양한 계보 및 경향성과 변화를 가진매체라는 측면이 보다 주목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우선 자유주의의 가장 근본적 개념인 ‘개인’ 이 각 시기별 경향별로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상의 다양한 전개과정을 보고자 했다. 『사상계』의 “개인” 개념은 경향적으로 1950년대 초반에는 식민지시기 서북지역기독교계 민족주의와 1940년대 일본 국가주의의 복합적 영향을 받은 전체주의적경향과, 냉전 자유주의적인 개념이 공존 경합하였다. 1960년대 근대화론의 세례속에서 “개인” 개념은, 분화된 산업사회 속에서 다시 공동체주의를 강조하는 균열적인 양상을 보였다.


This article unravels the complex value hierarchie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nation of the discourses in Sasangkyeo that has become the representative text of Korean liberalism after Korean War. In the early 1950s some discourses of “individual” concept in Sasangkyeo had a totalitarian element that was influenced by Statism of Japanese imperial universities in 1940s which Korean intellectuals had been educated. Another discourses lied in strong liberal heritage from Northwestern Christian nationalism in the colonial period. The latter sharply developed into a political liberal concept and existential one in the late 1950s. Also, in the 1960s, “individual” concepts showed a more fragmented 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