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회의 거룩성과 예배의 거룩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교회 개혁에 필수 적인 교회의 거룩성 회복을 위한 예배 패러다임을 제시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이 와 같은 논지를 증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세 단계로 진행된다. 첫째로, 성경으로부 터 교회의 거룩성과 예배의 거룩성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구약 레 위기로부터 교회와 예배 두 영역들의 거룩성의 동질적 관계에 대한 근거를 찾아 예 배의 거룩성이 어떻게 교회의 거룩성을 유지하고 강화시킬 수 있는지를 다룬 후, 신약 고린도전서로부터 교회의 거룩성이 예배의 거룩성 상실로 인해 어떻게 훼손 되는지를 밝힌다. 둘째로, 개신교의 대표적인 개혁운동들, 즉 16세기의 종교개혁과 20세기의 예배 갱신운동으로부터 오늘날 교회의 거룩성이 상실되기 시작한 근거와 유형을 밝힌 다. 개신교 종교개혁의 중심에 예배개혁이 있었다 해도 종교개혁자들에 의한 각 교 파별 예배개혁의 모델이 초대교회와 동방교회의 예배보다 거룩성이 약화된 중세 후 기의 예배 유산에 머물러 미완성적 예배개혁이었을 뿐 아니라, 중세 가톨릭의 성직 자 중심의 예배로부터 지나치게 회중 중심의 예배로 개혁을 시도함으로 예배의 거 룩성이 상실되는 단초를 제공하였다는 것을 밝힌다. 또한 예배갱신운동도 찬양과 경배를 중심으로 하는 예배 문화의 변화를 따르다가 교회와 예배의 거룩성을 동시에 상실하였음을 밝힌다. 셋째로, 예배의 거룩성을 회복할 수 있는 예배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구약성경이 말하는 이스라엘의 역사가 거룩을 시간, 공간, 인물 등에 투영하여 하나님 체험을 유지하고 또한 그 거룩의 경험을 일상의 삶에 새겨 놓은 것처럼, 오늘 한국교회가 어떻게 거룩한 예배를 회복하고 실천할 것인지 그 방법론을 제시한다.


The study is an attempt to suggest a paradigm for the recovery of the sacred church through worship. I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credness of the church and the sacredness of the worship. To the end, the study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ship in terms of their sacredness in the Scriptures. Firstly, the study examines the foundation of the homogeneous relationship of sacredness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ship in the Old Testament and deals with how the sacredness of the worship can maintain and reinforce the sacredness of the church. On the other hand, it examines how the sacredness of the church can be weakened and disappeared with the loss of liturgical sacredness in the New Testament. Secondly, the study examines the reasons why the Reformation in the 16th century and the Liturgical Movements in the 20th century, the dominant reform movements in the Protestant, weakened and lost the sacredness of the church. During the Reformation period, the reformers liturgically has much more in common with late medieval Christians loosely connected to the sacredness of the church rather than early Christian, eastern churches. The liturgical reform movements achieved a gain in church life centered on the congregant and their culture, but they nonetheless also bequeathed the loss of a clear view of the tradition of the church as expressed in the sacred worship. Thirdly, the study suggests a paradigm of the recovery of the liturgical sacredness in the church. Just as the Israelites in the Old Testament maintained their experience of God and inscribed it on their daily lives, projecting its own sacredness into time, place, and people, so the study suggests the ways today’s church could recover and practice her sacred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