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芥川龍之介の「蛙」(初出「帝国文学」大正6年10月)は、元々「蛙と女体」というタイトルで「女体」(小品)と一緒に発表されていた作品である。そして、のちに「女体」だけが切り離されて単行本に収録され、現在は別々の小品として分類されている。 従来の研究では、「女体」が評価される傾向のあるのに対し「蛙」は評価が低く、先行論文はほとんどない。芥川研究者から、ほぼ無視に近い扱いを受けており、出典すら明らかにされていないというのが現状である。 さて、このような状況のなか、今回、本稿があえて「蛙」に注目したのは、ほかでもない。「蛙」の題材の発掘等を通じて、「女体」との関係や両作品の主題を考察したり、当時の芥川文学の抱えていた問題を解明したりするのに有意義であると思えたためである。 たとえば、「蛙」の題材は、従来不明とされてきたが、今回の調査で、ガルシンの「夢がたり」である事がわかった。そして、この作品は「女体」にも影響を与えている。これら三作品に共通するものとして、①小動物的な視点、②「井戸の中の蛙(蛙)/井戸の外の蛙(女体)」の世界観、③描写やストーリー展開の類似性などが挙げられる。 また、相違点としては「夢がたり」が、世界の不条理性やそれに対する生き物の無力さというナンセンスを主題としているのに対し、「蛙」は不条理な世界を肯定的に捉えていく向日性が備わっているという事。また「女体」との関係でいえば、「夢がたり」が複数の小動物的世界観が描かれているのに対し、「女体」は一人の人物の視点から世界観が「異化」されている点に相違がある。 このように、ガルシン「夢がたり」と「蛙」(または「蛙と女体」)を比較考察していく事で、この小品の描かれた大正6年時における芥川の芸術に向かう姿勢や、その心境なども明らかになってくる。特に「蛙」のように、ユーモラスではありながら自己の思想を広く大きくしていく向日的な姿勢は、当時の芥川の自己拡張的な〈生の姿勢〉に重なるものがあったといえるだろう。


Akutagawa’s story Frogs (Kaeru) (first published by Teikoku Bungaku, October 1917) was originally released along with A Woman’s Body (Nyotai) (short piece) under the title, Frogs and A Woman’s Body. Later, A Woman’s Body was published in an independent volume, and the two are now categorized as separate short pieces. Past research has tended to praise A Woman’s Body but criticize Frogs, and almost no papers have dealt with it. Akutagawa researchers have ignored it, and its source has never been clarified. Therefore, this paper takes up the challenge of considering Frogs.I believe it would be significant to dig up the source material of Frogs to consider its relationship with A Woman’s Body and the main theme of the two works; in this way, the problems highlighted in Akutagawa’s literature at that time can be clarified. This paper has found that the source of Frogs is Vsevelod Garshin’s Tale of a Dream, which also impacted A Woman’s Body. These three works are similar in three ways: [1] perspective of a small animal, [2] world view of a frog inside a well/(woman’s body) frog outside a well, and [3] their descriptions and stories. There are also differences: while the nuances of the theme of Tale of a Dream are the illogicality of the world and the powerlessness of living beings in the face of this illogicality, in Frogs, the frog has heliotropism, which lets it deal positively with an illogical world. Moreover, turning to its relationship with A Woman’s Body, while Tale of a Dream portrays multiple world views of small animals, A Woman’s Body shows a world view that is aliena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single person. Comparatively considering Garshin’s Tale of a Dream with Frogs (or Frogs and A Woman’s Body) in this way will clarify Akutagawa’s attitude toward or his state of mind concerning his art in 1917, portrayed in this short piece. Furthermore, with Frogs in particular, his attitude, which, while humorous, includes a heliotropic attitude that would expand his own ideology, can probably be said to overlap the ego-expansive (attitude to life) that Akutagawa held at that time.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개구리(蛙)」(초출,『제국문학(帝国文学)』1917년 10월)는 원래「개구리와 여체(蛙と女体)」라는 제목으로「여체(女体)」라는 소품(小品)과 함께 발표된 작품이다. 그리고 그 중에「여체」만 분리해서 단행본에 수록되어 현재는 각각의 소품으로 분류되고 있다.기존의 연구에서는「여체」를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개구리」는 낮게 평가되고 있으며 선행 논문은 거의 없다. 또한 현재까지 아쿠타가와 연구자에게 거의 외면받아 출처조차 명확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연구 경향 속에서 본고는 오히려「개구리」에 주목해 보고자 한다. 「개구리」의 소재 발굴 등을 통해 「여체」와의 관계와 두 작품의 주제를 고찰하여, 당시 아쿠타가와 문학이 안고 있던 문제를 해명한다는 점에 그 의의를 둘 수 있기 때문이다.예를 들어「개구리」의 소재는 지금까지 불분명하다고 알려져 왔는데, 이번 조사에서 가르신(Garshin)의「꿈 이야기」와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이 작품은「여체」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세 작품에는 공통적으로 ① 소동물(小動物)적인 관점, ② 우물 안 개구리 (개구리) / 우물 밖 개구리 (여체)의 세계관, ③ 묘사나 스토리 전개의 유사성 등을 들 수 있다. 차이점으로는「꿈 이야기」가 세계의 부조리성과 그에 대한 생명체의 무력함이라는 넌센스를 주제로 하고 있는 반면, 「개구리」는 부조리한 세상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는 향일성(向日性)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여체」와 관련 지어 보면,「꿈 이야기」에 동물적인 세계관이 다양하게 그려져 있는 반면, 「여체」는 한 인물의 관점에서 세계관이 ‘이화(異化)’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처럼 가르신의 「꿈 이야기」와「개구리」, 아울러「개구리와 여체」까지 포함하여 비교 고찰함으로써 이 소품에 담긴 1917년의 아쿠타가와가 예술로 향해 가던 자세와 그 심경 등도 선명하게 나타날 것이다. 특히 「개구리」와 같이 유머러스하면서 자기의 사상을 넓혀 가는 적극적인 자세는 당시 아쿠타가와가 스스로 확장시키고자 한 <삶의 자세>와 겹치는 지점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