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근대 서적 유통 현상을 중심으로 한중 지식 교류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고 출발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상해 강남 제조총국 번역관과 광학회를 중심으로 근대 중국의 지식 현상을 규명하고자 했으며, 이들 서적이 국내에 유입되는 경로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글에서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해 강남 제조총국 번역관의 활동과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덜 주목했던 ‘구역필술(口譯筆述)’의 방식이 갖는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 방식은 중국어에 익숙하지 못한 서양인이 입으로 번역하면, 중국인이 중국 문장에 적합하게 필술하는 방식이다. 그 과정에서 ‘역서의 방법’과 관련한 논의가 나타났음을 주목할 현상이다. 둘째, 근대 중국의 지식 생산 차원에서 1887년 설립된 광학회의 활동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 단체는 1907년 8월까지 264종 이상의 번역 서학서를 출간하였는데, 이들 서적의 대부분은 그 당시 국내에 유입된 점이 특징이다. 셋째, 한국에서의 중국 근대지 수용 과정에서 주목한 것은 지식 유통의 경로이다. 전통적인 중국 지식 유통 경로는 사행이 중심을 이루었다. 그러나 근대 중국의 지식 유입은 기선의 발달과 함께 큰 변화를 보인 것으로 추측되는데, 상해의 미화서관이나 윤선의 행로 등을 추적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넷째, 번역관과 광학회 서적 유통 상황과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성순보』, 『한성주보』의 기사원이나 1895년 학부 설립 이후 번역 서학서를 번각한 다수의 교과서 등은 번역관과 광학회 서적의 영향력을 증명하는 대표적인 것들이다. 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근대 중국 지식의 유입 과정과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더 살펴야 할 자료가 많음을 확인하였다. 일부 사용하기는 하였으나 그 시대 지식인들의 일기, 번역 서학서의 구체적인 내용 분석 등이 그것이다. 이 작업은 짧은 시간에 끝날 성질의 것이 아니며, 개인 연구자가 접근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만국공보』에 수록된 다수의 ‘환유지구약술(環遊地球略述)’이나 ‘서학부강총서’의 구체적인 내용 분석 등은 지속적인 집단 연구 과제로 남겨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knowledge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focusing on the modern book circulation phenomenon. The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knowledge phenomenon of modern China centered on the translator of Shanghai Gangnam Jejochongguk Beonyeokgwan (製造總局 飜譯館), and focuses on identifying the route of these books into the country. A summary of the discussions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seek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Guyeokpilsul (口譯筆述)', which was of relatively less interesting in the previous studies, in relation to the activities of Gangnam Jejochongguk Beonyeokgwan. This is a method in which a Chinese person writes a Chinese sentence if the western person who is not familiar with Chinese translates it orally. Secondly, it explores the activities of the Gwanghakhoi (廣學會), established in 1887, in terms of knowledge production in modern China. By August 1907, the group had published more than 264 translated books, most of which were imported at that time. Third, the attention of the Chinese modernization process in Korea is the path of knowledge circulation. Traditional Chinese knowledge distribution channels are centered on meandering. Fourth, it verifies the distribution situation and influence of those books made by the Beonyeokgwan and the Gwanghak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