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형이상학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들뢰즈와 화이트헤드의 관계를 다룬다. 이들 두 철학자들 사이의 관계는 역사적이고 사실적인 관점에서 볼 때 들뢰즈가 『차이와 반복』이래로 화이트헤드를 참조하고 있으며 특히 『주름』에서 화이트헤드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확인된다. 무엇보다 두 형이상학자들 사이의 관계를 해명하는 것은 들뢰즈의 존재론 체계가 완성된 『차이와 반복』과 원숙한 시기의 화이트헤드의 형이상학적 체계가 잘 나타나 있는『과정과 실재』의 비교작업이 될 것이다. 이러한 비교연구를 위하여 우리는 특히 사건의 철학과 관련하여 들뢰즈의 화이트헤드 독해가 갖는 적합성과 한계를 살펴본 후, 화이트헤드의 파악 개념과 들뢰즈의 수동적 종합개념(첫 번째 수동적 종합: 응시, 수축, 만족)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찰하고 평가할 것이다. 만일 이 두 철학자들의 형이상학(존재론)에 어떤 심층의 연대가 존재한다 고 한다면, 그들 모두 칸트의 초월론적 관념론을 넘어서고자 하는 그들의 방식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지니는 유사한 철학적 지향점이 있다는 점일 것이며, 이는 경험론과 분리되지 않는 형이상학을 창조함으로써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그것들은 각각 초월론적 경험론과 사변적 경험론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Deleuze and Whitehead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metaphysi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philosophers is evident from the historical and factual point of view that Deleuze refers to Whitehead since Difference and Repetition , and in particular that Whitehead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Fold . Above all,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etaphysics will be a comparison of Deleuze's ontological system in Difference and Repetition , and the metaphysical system of Whitehead's Magnum Opus, Process and Reality in his mature period. For this comparative study, we first examine the relevance and limitations of Deleuze's Whitehead reading in relation to the philosophy of the event, and then compare Whitehead's concept of "Prehension" and Deleuze's concept of "passive synthesis" (first passive synthesis: contemplation, Contraction, Satisfaction) will examine and evalu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If there is a certain degree of solidarity in the metaphysics of these two philosophers, they all have a similar philosophical orientation in their way of going beyond Kant's transcendental idealism, It can be said that it is achieved by creating new metaphysics. They are transcendental empiricism and speculative empiricism (organism philosophy),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