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와 애착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 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에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452명(남자=335명, 여자=117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구조방정식에 의하면 자기통제는 흡연을 제외한 모든 비행(음주, 사이버비행, 폭력비행, 성적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보호자, 형사사법기관 종사자, 비행친구와의 관계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을 구분하여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실시한 결과 자기통제와 비행친구관계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두 집단 간에 상당한 유사점이 발견되었다. 반면, 자기통제가 비행친구관계를 제외한 다른 애착변인에 미치는 영향과 각 애착변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남․여 간에 차이를 보였다. 남자 청소년 비행의 경우 선택이론과 인과이론이 부분적으로 지지를 받았지만 이 둘을 통합한 접근이 적절한 반면, 여자 청소년 비행의 경우 선택이론보다는 인과이론이 더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범죄학 이론이 여자 청소년의 비행을 어느 정도 설명하기는 하나 한계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찰을 비롯해 형사사법기관에서 청소년 비행을 예방 및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자기통제와 친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키고 비행친구관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프로그램 운영 시 성차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attachment on delinquency.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survey data of 452 adolescents(335 males and 117 females) on probation, collected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in 2018.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total sample showed that self-control had direct effects on all types of delinquency(drinking, cyber delinquency, violent delinquency, sexual delinquency) except for smoking, and also had indirect effects on delinquency through relationships with guardians, officers, and deviant peers. Although the findings provided partial support for both social selection and social causation models, mixed selection-causation model provides better explanation of delinquency. According to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ender similarities were found in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deviant peer association on delinquency, whil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control and attachment variables excluding deviant peer association and between these variables and delinquency appeared. Social selection and social causation were partially supported, but mixed model was appropriate for the male youth. For the female youth social causation was more supported than social selec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traditional criminological theories can be used to explain female delinquency but limitations still exist.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of programs which aim at increasing self-control and relationships with prosocial others and decreasing deviant peer association. In particular, we need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gender on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