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고는 근대전환기 양명학적 실심실학(實心實學)과 주자학적 실심실학을 비교분석한 글이다. 조선 양명학파를 대표하는 하곡학파(霞谷學派)의 특징으로 거론되어온 ‘실심실학’은 하곡학파의 전유물이 아니었다. 특히 근대전환기에는 서구문물과 제국주의의 국권침탈 등 위기 상황에 대한 유교 지식인의 대응으로서 실심실학을 중심으로 한 학문의 재해석과 실천이 활발하였다. 이건창, 이건승, 이건방, 정인보 등 하곡학파는 진실성의 기초 위에 주체성을 더 강조한 실심실학을 주장하였다. 이들의 실심실학은 곧 ‘실심을 실행하는 실학’을 의미했다. 따라서 실학은 진실된 마음인 실심이 지향하는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는 실심의 한결같이 참되고 거짓이 없는 [일진무가(一眞無假)] 상태가 중요하다. 그러면 실심은 언제나 그 자리에서 정론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곽종석, 전우와 같은 주자학자는 전통학문의 본질과 보편적 진리를 지키기 위해 다시금 진실성에 기초한 성리학의 완성을 주장하였다. 이들의 ‘실심실학’은 ‘실심(實心)으로 실학(實學)하라’는 것이다. 여기서 실심은 실학하는 태도를 설정한 것이므로 실심을 기준으로 삼는 하곡학파의 견해와 다르다. 근대전환기 양명학적 실심실학은 주체의 확립을 지향한 반면 주자학적 실심실학은 보편의 확립을 지향했다. ‘실심실학’에 대한 다른 함의는 실천론과 실천 양상의 차이로 이어졌으며, 이는 현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paper is a comparison analysis of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under the doctrines of Yang-ming studies and those under neo-Confucianism. The ‘Sincere Mind and Practical Learning’ has been mentioned as a characteristic of Hagok’s School representing the Yangming’s School of Chosun. But the philosophy was not appropriated by the Hagok’s School only. Particularly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modern age, Confucian intelligentia pursued academic re-interpretation and practicing with the focus on this Sincere Mind and sciences as a response to the then crisis situation with Western civilization inflow and sovereignty pillage under imperialism. Neo-Confucianists such as Jongsuk Gwak and Wu Jun called for the completion of neo-Confucianism based on veracity once again to preserve and follow the essence of traditional study and moral practice rule. Their philosophy of Sincere Mind and Practical Learning was to ‘pursue practical learning with Sincere mind set.’ This Sincere Mind is to explain the attitude of pursuing practical learning, thus, different from that of the Hagok’s School, which bases on practical mind. Hagok’s School including Gunchang Lee, Gunseung Lee, Gunbang Lee, and Inbo Jung, more stressed independence on the foundation of veracity in their doctrine of Sincere Mind and practical Learning. This Sincere Mind and sciences of them referred to practical sciences implementing practical mind. Therefore, Practical Learning are subject to change according to where the truthful mind of Sincere Mind aims at. Here, it is important to have the kind of Sincere Mind that is constantly true without hypocrisy. Then, the Sincere Mind would always be there to present reasonable argument. Such discrepancy in interpreting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led to the gap in practice theories and practice patterns, presenting deep implications even to the moder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