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미당(未堂) 서정주의 제 2시집 歸蜀道(1948)에 수록된 '密語'를 그 리듬을 중심으로 자세히 이해한다. 歸蜀道의 리듬은 이미 여러 사람들이 높이 평가한 바 있다. 하지만 歸蜀道의 개별 시를 대상으로 리듬을 논의한 연구는 소략하다. 본고는 歸蜀道 1부 표제시이자 시집의 특징들이 집약된 '密語'의 리듬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소리와 뜻을 아울러 '密語'의 의미 구조를 해명하고, 미당 초기시의 리듬을 연구하는 일에 기여한다. 논문은 세 단계로 전개된다. 먼저 '密語'의 선행 연구를 검토한다. 이어서 '密語' 해석의 첨예한 논쟁점을 중심으로 '密語'의 이전 해석들을 재분류한다. 끝으로 '密語'의 리듬을 분석하여 시의 의미 구조를 밝히고 첨예한 논쟁점에 나름대로 답한다. '蜜語'에 관한 여러 해석들은 결국 1연 “돌아간”의 의미는 무엇인가와 2연 1행을 1연과 관련지어 해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입장 차이로 정리된다. 歸蜀道의 술어 ‘돌아가(오)다’ 사용법은 '密語'의 시어 “돌아간”을 죽음으로 해석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그리고 '密語'의 리듬은 1연의 ‘세 소녀’를 2연 1행과 관련지어 망자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를 종합하여 시 해석의 논리를 구축할 때, '密語'는 봄꽃이 피어남을 찬탄하는 시이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오히려 '密語'는 상징적인 시에 가깝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密語'는 중층적인 의미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중층성은 텍스트 차원에서는 표층-심층 구조에 대응하고, 시인의 차원에서는 자기 서술 충동과 내면의 타자의 목소리에 상응한다.


This paper discusses '密語' in Seo Jeong-Ju’s second collection <歸蜀道>. The rhythm of <歸蜀道> has already been praised by many critics. However, few studies have discussed the rhythm of individual poems in <歸蜀道>. This paper analyzes the rhythm of '密語', which is the first poem in <歸蜀道>, and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Through this, it interprets the rhythm and meaning of poetry together,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rhythm of Seo’s early poems. This process is carried out in three courses. First, review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f the poem. Second, organize the different ideas about interpretation of the poem. Finally, take into account the rhythm of the poem and answer the argument of interpretation of the poem. Looking at the rhythm of the poem, '密語' is not simply a poem of celebrates and delights the moment when spring flowers bloom. The flower of the poem is more like a symbol than a natural object, and the three people appearing in the poem are judged to be more than just an ordinary girl. The meaning structure of '密語' is composed of a layered. These realistic interpretations and symbolic interpretations form a layer-deep relationship in the meaning structure of '密語' composed of a layered. These layered features correspond to a surface-deep structure at the text level, and to a autobiographical compulsion and inner other’s voice at the poet’s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