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나병 환자의 삶과 죽음에 대해 우리나라 역사 문헌 자료를 검토하여 고찰하고자 한 다. 문헌 기록에 의하면 조선시대 나병 환자들의 삶은 다양하여 가족들로부터도 버림받아 사회 최 하층으로 전락한 사람들이 있던 반면 발병 후에도 가족들과 남은 여생을 무난히 보낸 경우도 드물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국가 권 력이 나병 환자를 사회적으로 격리하는 데 주력했던 서구 국가와 달리 유교 국가인 조선은 나병 환자를 집안에 두고 구호하는 것을 방조하거나 경우에 따라 이를 장려하기도 했기 때문에 환자가 최종적으로 사망하면 가족들이 당시 통 용된 의례에 따라 묘지에 정상적으로 매장한 경우도 드물지 않았던 것 같다. 생물 인류학 및 고병리학 분야에서 나병 은 중요한 연구 주제이지만 우리나라 옛사람 뼈에서 그 흔적이 학술적으로 보고된 경우는 현재까지 매우 드문데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하면 우리나라 조선시대 무덤에서 발굴되는 사람 뼈 중에 생전에 나병 환자였던 소견이 확인되는 경우가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Leprosy is an important topic in the research field of bioanthropology and paleopathology. In this study, by reviewing historical documents, we are to investigate the life and death of leprosy patients during Joseon period. In historical records of Korea, though many leprosy patients suffered from being casted out of the Joseon society, some lucky patients spent the rest of life at home, fully supported by their family and relatives. Although these cases might not represent the entire leprosy patient, when they died, the family buried them politely according to the Confucian ritual commonly practiced at the time. Actually, very few leprosy cases in Korean history have been reported from anthropological studies so far. The present review shows that the discovery of leprosy patients from ancient human skeletons in Korea is not entirely hope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