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고등학교 동아시아사는 한국사와 세계사를 연결하는 과목이다. 이는 자신을 성찰하고 타인을 이해함으로써 동아시아에 산적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리라 기대되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동아시아사 학교 현장에 정착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에 본고는 연관과 비교의 관점에 입각하여 2015 동아시아사 교육과정과 집필기준, 교과서를 분석하고,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대주제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은 서양의 충격과 동아시아의 반응이라는 이분법적 구조 속에서 설명되었다. 교육과정과 집필기준, 교과서에서는 비교의 원리가 주로 적용되었지만, 공통점과 차이점을 함께 살피지 못하거나 단편적인 비교가 시도된 경우가 많았다. 연관의 원리가 적용된 사례는 극히 찾아보기 어려웠는데, 이는 동아시아사라는 광역 단위를 토대로 한 연구 성과가 부재한 데서도 기인하는 바이다. 연관과 비교의 원리는 동아시아사 교수 학습 방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연관은 연관 대상 선정, 연관 관계 분석, 연관 제시 방법 선택, 연관 실행의 순서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는 비교 단위 결정, 비교 대상 선정, 비교 제시 방법 선택, 비교 실행의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그런데 연관과 비교를 통해 얻은 결론은 어디까지나 잠정적인 것으로서 언제든지 수정되거나 재해석될 수 있고, 때로는 연관과 비교를 넘나들며 더욱 풍부한 사고 실험을 시도해볼 수도 있다는 것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관과 비교의 원리를 활용한 교수 학습 상황에서는 결과보다는 과정이 더욱 중시되어야 한다.


<East Asian History> is a curriculum that connects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It has been expected to resolve several problems in East Asia, introspecting ourselves and understanding the others. However, <East Asian History> is placed in a tough situation now.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East Asian History> curriculum and new textbooks which are to be used from this year. Also, I seek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n the basis of ‘connection’ and ‘comparison’ principles. ‘East Asian modernization and anti-imperialism’ is the fourth chapter in the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It has the epistemological structure of ‘Western Impact’ and ‘Eastern Reaction’, and describes the historical process of East Asian countries by applying the ‘comparison’ principle. But there are few descriptions applying the ‘connection’ principle. In general, four textbooks comply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Writing standard. But it should be noticed that they sometimes repeat the standard pattern of the past textbooks and contain incorrect contents. ‘Connection’ principle means that one works along with another, or they influence each other. It can proceed in the order of object choice, relational analysis, presenting method choice, and practice. ‘Comparison’ principle means that one discovers what is common and what is different. Similarly, it may proceed in the sequence of unit choice, object choice, presenting method choice, and practice. When applying the ‘connection’ and ‘comparison’ principle, the conclusion is tentative and thus can be modified and reinterpreted. Therefore, it is concerned with the process than the outcome of applying the ‘connection’ and ‘comparison’ princi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