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resent study tested whether teachers can deliver direct instruction in an autonomy-supportive way that preserves and enhances the quality of students’ motivation, engagement, and learning. Participants were 118 undergraduate students (83 females, 33 males) recruited from sections of an introductory educational psychology class at a large universit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1 of the 3 treatment groups (controlling direct instruction condition, autonomy-supportive direct instruction condition, and nondirect instruction control condition).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Student-Newman-Keuls post hoc tests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autonomy-supportive direct instruction condition showed the highest quality learning experience in terms of motivation, engagement, and learning followed by participants in nondirect instruction condition. Participants in controlling direct instruction condition showed a relatively poor learning experienc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otivationally important aspect of a teacher’s direct instruction is not whether instructions are direct or nondirect but, instead, how teachers deliver those instructions --autonomy supportive versus controlling--that affects the quality of students’ experience during a learning activity.


본 연구는 교사 주도의 설명식 수업에서 교사의 자율성지지적 동기화 방안이 양질의 학습경험(자율성 동기, 학습관여, 학업성취)을 촉진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였다. 본 실험연구에는 116명(여: 83, 남: 33)의 대학생들이 참여하였고, 이들은 세 개의 집단(자율성지지적 설명식 교수법 집단, 통제적 설명식 교수법 집단,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 교수법 집단)에 무선 배치되었다.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일원분산분석(one-way-Anova)과 사후비교분석(SNK post hoc tests)을 실시한 결과 자율성지지적 설명식 교수법 집단의 참가자들은 가장 높은 수준의 동기, 관여, 학습성과를 보였다. 아무런 처치가 들어가지 않은 대조군 집단이 그 뒤를 이었다. 반대로, 통제적 설명식 교수법 집단의 참가자들은 가장 저조한 수준의 학습경험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의 설명식 수업이 과연 좋은가 나쁜가에 대한 논의를 떠나 교사가 설명식 수업을 하게 될 때 어떤 방식(자율성지지적 교수 방식vs. 통제적 교수 방식)으로 진행하느냐에 따라 학습자의 자율성 동기, 학습관여, 학습성과가 어떻게 유의미하게 달라지의 여부를 실험연구를 통해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함의와 시사점을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