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형제자매 괴롭힘 피해경험이 또래괴롭힘 피해경험으로 이어지는 기제를 밝히기 위해, 형제자매 괴롭힘 피해경험, 성격적 자기비난, 또래 공격성에 대한 대처효능감, 그리고 또래괴롭힘 피해경험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중학교 1-3 학년 559명의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 형제자매 괴롭힘 피해경험은 또래괴롭힘 피해경험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형제자매 괴롭힘 피해경험은 성격적 자기비난과 대처효능감을 순차적으로 거쳐 또래괴롭힘 피해경험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형제자매 괴롭힘 피해경험이 또래괴롭힘 피해경험으로 이어지는 구체적인 기제를 밝힌 국내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또래괴롭힘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sibling bullying victimization (SBV), characterological self-blame (CSB), coping self-efficacy (CSE) and peer bullying victimization (PBV) in middle-school students to address how SBV develops into PBV. Self-reported data from 559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ged 14 to 16 year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PBV directly predicted SBV,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CSB and CSE were also significant. In other words, victimized experience with siblings increased the level of CSB, which in turn lowered CSE. Consequently, this raised the possibility of being victimized within peer groups. This study is noteworthy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examine a concrete mechanism between PBV and SBV in Korea. Based on the findings,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BV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