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국, 베트남, 필리핀 다문화가정 자녀의 가정에서의 모어 습득에 초점을 맞추어 이중언어 습득이 자아존중감과 외국인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하여 주관적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중언어 습득이 자녀의 심리사회적 발달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5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데이터에서 한국인아버지와 중국, 베트남, 필리핀 출신의 외국인어머니로 구성된 다문화가정의 만10에서 12세의 자녀로서 한국에서 태어났으며 외국 경험이 없는 자녀613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습득이 자아존중감과 외국인어머니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매개로 주관적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이중언어 습득은 자아존중감을 높이며외국인어머니와의 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언어습득은 자아존중감과 외국인어머니와의 관계를 매개로 주관적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습득을 장려할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bilingualism of children from China, Vietnam or Philippine multicultural families on subjective school adapt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oreign mother. In this study, we used the 2015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data from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sample included 613 native-born children, aged 10-12, whose father is Korean but mother is foreign-born.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As a result, their bilingualism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self-esteem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oreign mother. In addition, their bilingualism positively affected subjective school adaptation through self-esteem and their relationship with a moth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to encourage bilingualism of children from China, Vietnam or Philippine multicultural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