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논문의 목적은 2019년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3‧1운동이 일어난 원인을 분석 하고 이 운동이 시민사회(백성)와 국가(고종)의 항일연합항전의 역사 속에서 가능했다 는 점을 밝히려는 것이다. 3‧1운동 촉발의 직접적 계기는 세계적인 민족자결주의 흐름 의 국내 유입‧확산이라는 환경 속에서 발생한 고종의 독시(毒弑)였다. 일제가 고종을 독 시한 이유는 파리강화회의 밀사 파견과 북경 망명을 준비했기 때문이다. 이 논거를 확 인하는 차원에서 비폭력 저항운동의 기초가 되었던 대한독립의군부와 「관견」 검토, 3‧1운동의 중심 네트워크가 되었던 천도교에 대한 검토, 고종의 파리강화회의 밀사파견 과 북경 망명 계획에 대한 검토, 일제에 의한 고종의 독시와 이에 대한 백성의 공분과 독립에 대한 열망을 검토했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1919년 3‧1운동은 일제에 병탄된 대 한의 독립을 준비하려는 고종의 중장기적 준비로서 대한독립의군의 창설로 시작되어, 나라 잃은 백성들의 공분과 독립의 열망이 결합되었고, 이 과정에서 고종은 대한의 독 립을 위해 파리강화회의 밀사 파견과 해외망명정부 수립을 준비하다가 일제에 의해 독 시되었고, 이에 공분한 백성이 일제에 맞서 비폭력 저항을 전개했으며, 그 근간은 동학 의 삼백만 네트워크였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3‧1 movement and to define that this movement was possible in the history of Anti-Japanese War of civil society(people) and nation(Kojong). The direct cause of the 3·1 movement was the poisoning of Kojong that occurred in the environment of the global influx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ism. The reason why Japan was poisoning Kojong is that it dispatched a courier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and prepared for asylum government in Beijing. In order to confirm this argument, a review of the ‘Dokripeuikumbu’ and the 『gwangyeon(管見)』, which was the foundation of the nonviolent resistance movement, the review of the Cheon’do-gyo, which became the central network of the 3‧1 movement, and reviewing the poison of Kojong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and people’s desire for independence. In 1919, the 3‧1 movement bega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Dokripeuikumbu’ as a medium and long-term preparation of Kojong to prepare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during this process, Kojong was poised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in prepar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dispatching a courier to the Paris Contingency Conference and establishing an asylum government. The people, who were united by it, developed nonviolent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It is based on three million networks of Dongh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