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실 대화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이 지식의 본질과 앎의 과정 대해 가지는 믿음의 체계인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이 교실 대화 참여에 영향을 주며, 학습자의 교실 대화 참여의 경험은 다시 그들의 인식론적 신념의 형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입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하여, 287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인식론적 신념과 교실 대화 참여 및 경험 간의 관계를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핵심 연구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인식론적 신념 중에서 앎의 원천이 전문가에게 있다는 믿음은 학생들의 소집단 대화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 둘째, 교사가 수업 중 열린 질문을 많이 한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닫힌 질문을 많이 한다고 응답한 학생들보다, 모둠활동의 경험이 많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앎의 원천에 있어 세련된 신념을 가지고 있다는 점, 셋째,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이 앎의 원천과 학습의 능력 측면에서 소박한 수준을 보였다는 점이다. 이는 학생들이 고등학교에 진학함과 함께 입시 중심의 지식 전달형, 시험 대비형 수업에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지식은 전문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학생들의 역할은 교사나 교과서를 통해 제공된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라는 신념을 갖게 되었던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생에게 의미 있는 소집단 대화의 경험을 풍부하게 제공하는 것과 교사가 수업 중 열린 질문을 통해 주어진 지식에 대한 학생의 관점을 넓히고 사고를 확장시켜 주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실 대화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이 지식과 앎의 과정에 대해 가지고 있는 믿음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화법 교육 연구의 내용을 확장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epistemological beliefs, which is a system of beliefs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and process of knowing that learners participating in classroom communication h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learners' epistemic beliefs influence classroom communication participation and that their experience of classroom communication, in turn, affects their reformation of epistemological beliefs.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pistemological beliefs, participation in classroom communication, and experience of 28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survey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presented in three points. First, the belief that experts are the sources of knowledge negatively affects students' participation in small group dialogues. Second, students with more experience in group activities have more sophisticated beliefs in knowledge source than students without experience. Third, epistemological beliefs of high school students are simpler than those of middle school ones in terms of knowledge source and learning ability. Therefore, it will be important to provide a rich experience of meaningful small group conversations for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broaden their perspectives and expand their thinking about a specific knowledge by asking open questions in cla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s current knowledge on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by showing the importance of learner's belief in the process of acquiring knowledge in classroom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