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성인 장애자 대상 문화 예술교육 미술 교수 학습 모형과 지도안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회 분야 문화 예술 교육의 목표를 예술 향유, 예술적 기능 습득, 삶에 의미 있는 경험, 지역 사회의 구성원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체화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 학습 목표 설정에 방향성을 갖도록 했다. 둘째, 성인 장애자들 대상 적절한 교수 학습 모형은 직접 교수 학습 모형이라는 점, 하지만 이 모형은 미술과의 특성과 학습자들의 장애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셋째, 성인 장애자들 대상 미술과의 특성을 살린 직접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교수 학습 과정은 문제 인식, 재료 탐색, 시범 및 설명, 감상, 정리 및 발전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넷째, 효율적 교수 학습 활동을 위해 전체 학급 집단을 교사 주도적인 세 개의 가·나·다 소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성인 장애자들의 수행 능력을 기능적 수준, 미술 수준, 미술 활동 수준로 구분하였다. 다섯째, 성인 장애자들 대상 교수 학습 지도안을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직접 교수 모형에 따라 작성하여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and instruction for cultural arts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in the art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he social field is embodied as enjoying art, acquiring artistic crafts, meaningful experiences in life, being members of the community.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go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goals. Second, the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is a direct instructional learning model. However, this model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education and the disabilities of the learners. Third, we developed a direct teaching - learning model that takes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art class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consists of problem recognition, material search, demonstration and explanation, appreciation, summary. Fourth, for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whole class group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centered on teacher. Also, the performance of adults with disabilities is divided into craft level, art level, and art activity level. Fifth, the teaching pla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direct teaching-learning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