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성교’를 나타내는 완곡 표현에 관해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언중들은 ‘성교’에 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기를 꺼리기 때문에 ‘성교’를 나타내는 표현은 금기어라고 할 수 있다. 금기나 금기어가 주는 부정적 인식을 회피하기 위해 금기어 대신 완곡어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금기어를 그대로 사용하면 언중들에게 거부감을 주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금기어는 어떤 면을 감추기 위해 은폐하는 측면이 강할 것이며 이를 대신하는 완곡어는 어떤 면을 부각할 것이다. 또한 금기어를 대신하는 완곡어를 사용하는 전략은 ‘은유’와 ‘환유’의 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성교’ 관련 금기어를 회피하는 전략으로 ‘은유’와 ‘환유’가 사용되는 것을 살펴보고 대신 사용되는 완곡어의 해석에 관해 인지언어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금기어, 완곡어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으로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의 은유, 환유 및 틀과 해석의 관점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2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성교’ 관련 금기어를 대신하는 완곡어에 관해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우리 문화에서 ‘성교’에 관해 언중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살펴볼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d the euphemisms used in place of taboo words representing ‘sexual intercourse’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Chapter 2 investigated the concepts of taboo word and euphemism and metaphor, metonymy, frame, and construal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as theoretical backgrounds. Chapter 3 discussed the euphemisms replacing taboo words related to ‘sexual intercourse’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based on the contents of Chapter 2.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linguistic community avoids the taboo words related to ‘sexual intercourse’ in their daily lives and routinely uses the mechanism of metaphor or metonymy in using euphemisms replacing that. ‘Sexual intercourse’ is compared with 'war', 'food' or 'commodity,’ or expressed by the adjacency of ‘places’ or ‘things.’ Second, in recognizing and expressing ‘sexual intercourse,’ it can be understood, dividing them into two perspectives, ‘affirmation’ and ‘negation’ by a cognitive linguistic ‘frame’ and can be ‘construed’ in a special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