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강릉이란 한 지역이 언제부터 대학자 이율곡과 그 모친 신사임당의 고장으로 자리매김되는가에 대한 탐구에서 출발하여, 결국 송담서원, 송담서원 내 신사임당 작 그림, 오죽헌 등의 강릉 상징경관들을 조형․소비하는 중요한 주체 중의 하나는 서인-노론계 학인들이라는 점을 재인식시키고자 한다. 서인, 특히 노론계 문인들은 서인 학통의 중요인물인 이이에 관해 동일한 형태의 기억을 공유하고, 강릉 탐방 내지 순례 문화의 정립을 통해 이 기억을 여러 세대에 걸쳐 지속적으로 누적․파급해 나가면서 서인 특유의 집단정체성을 확립하는 양상을 보였다. 서인 문사들이 관동 유람길에 빼놓지 않고 탐방했던 강릉은, 단순히 승경․명소로서의 유람지를 넘어, 특정 학파 내부에서 ‘상징-문화의 정치학’이 민감하게 가동되는 지점이기도 했던 것이다.


This study is dedicated to verify that when Kang Nung had been positioned as the historical site of Ee Lee and his mother Shin Saim Dang. One of the important consumers or pilgrims who made Kang Nung as a symbolic landscape, was Seoin(西人), especially Noron literary men. They shared the same form of memory about Ee Lee and Shin Saim Dang, and they continuously established this memory over generations through the tour or pilgrimage culture including Kang Nung. When Noron men went to Songdam Seowon in Kang Nung, and saw some paintings by Shin Saim Dang in there, it was very helpful for establishing a group identity. In Noron’s case, their Kang Nung tour was a point that “Symbolism-Politics” was operating sensitively inside a particular school, beyond just a sightse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