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남미 테우엘체 원주민의 창세신화 엘랄 작품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군에 등장하는 신들을 창세신과 신적 영웅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점, 신적 영웅은 ‘영웅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점 등을 아울러 밝힌 것이다. 엘랄 작품군은 테우엘체 원주민에게 창세신화의 범주에서 전승된 것이기 때문에, 이 작품군의 주인공인 코츠와 엘랄이 창세신으로 인식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본 논문은 코츠는 창세신, 엘랄은 신이면서 영웅, 즉 신적 영웅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한편, 창세신화는 시초의 것, 원형적인 것 등을 제시하여 현실적 세계의 당위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코츠와 같은 창세신의 주된 자질은 영속적인 것들의 창조로, 엘랄과 같은 신적 영웅의 주된 자질은 비영속적인 것들의 조정과 경계 획정으로 그 당위성이 설명되는 것이다. 그 점에서 코츠는 우주 및 자연의 기원이 되는 창세신의 원형에 해당한다면, 엘랄은 문화영웅이나 인간적 영웅의 기원이 되는 ‘영웅의 원형’에 해당한다. 이러한 논의는 한국의 창세신화에서처럼 복수의 창세신이 등장하는 경우, 그 변별적 자질과 의미를 분석하는 데뿐만 아니라, 신적 영웅 및 영웅의 비교문학적 연구를 시도하는 데에도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study of the creation myth(Elal Cycle) of Tehuelche Aborigines of South America, that the gods can be classified into creation gods and divine heros, and that the gods show the prototype of the heroes. In Elal Cycle, Kóoch argues that creation gods and Elal can be distinguished as divine heroes. The main qualities of the creation god, such as Kóoch, are the creation of perpetual things, and the main qualities of the divine hero, such as Elal, are explained by the adjustment and boundary delimitation of non-perpetual things. In that respect, if Kóoch corresponds to the archtype of the creation god, which is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nature, the Elal corresponds to the ‘archtype of the hero,’ which is the origin of a cultural hero or human hero. This discussion will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analyzing the distinctive qualities and meanings of two creation gods as they appear in the Korean mytholog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Creation myth, South America, Tehuelche, Elal Cycle, Divine he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