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대 안동에 유입된 기독교는 지역문화에 대한 이해와 토착화를 통해 공존의 길을 모색하고 고유의 기독교문화를 정립하였다. 안동지역에 정착하려는 기독교의 노력과 구국의 방편으로 기독교를 수용하고 성경을 유교의 경전처럼 이해하려는 유림의 입장이 공존하면서 기독교가 성장할 수 있었다. 기독교는 일제시기 3․1운동을 통해 조직적 활동으로 지역내 존재감을 획득할 수 있었다. 구국활동에의 참여는 3․1운동 후 교회를 바라보는 시선을 훨씬 우호적으로 변하게 하였다. 또한 교육기관의 시설과 근대적 의료기술의 제공은 지역 발전에 기여하였고, 기독교를 근대문명의 통로로 인식하게 하는 동시에 기독교의 교세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청년운동, 여성운동은 계몽운동의 한계를 갖지만, 기독교가 현실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사회운동이었다. 일제 말기, 일본기독교로의 통폐합과 신사참배는 교회의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기독교의 세를 위축시켰다. 해방 후 미군정의 주둔과 한국전쟁 후 미국 구호의 영향을 받으며 기독교는 다시 성장할 수 있었다. 해방공간에서 기독교 인사들은 우익적 입장을 견지했고, 미군정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우익의 기반을 다지는 데 일조했다. 그러나 정부수립 후 기독교인들의 조직적인 정치 참여는 찾기 어렵다. 무엇보다 일제말 무너진 교회의 재건에 관심을 두었기 때문이다. 한국전쟁 후 기독교는 구호활동을 통해 사회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고, 교육사업과 복지사업을 통해 지역사회에 참여하였다. 안동의 기독교는 유림과의 공존을 모색하는 가운데 일제시기 민족운동과 의료, 교육사업을 통해 지역에 정착하였고, 해방 후에는 우익적 정치세력으로서, 한국전쟁 후에는 구호 및 사회사업을 통해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Christianity, which has flowed into Andong since the modern age, sought coexistence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localization of local culture and established its own Christian culture. Christianity was able to grow with the efforts of Christianity to settle in the Andong area and with the attitude of Confucian scholars who accepted Christianity as a means of protecting the nation and understood the Bible like Confucian scriptur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Christianity gained its presence in the region through organizational activitie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the Christianity activities to save the country made the view to church amicable.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modern medical technology has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and has allowed Christianity to be recognized as a gateway of modern civilization and to expand the power of Christianity. The youth movement, the women’s movement, and the rural movement were social movements that Christianity could practice in reality despite the limits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integration to Japanese Christianity, and shinto worship disrupted the image of the church and constricted Christianity. Christianity was able to grow again under the influence of the US military presence after liberation and the American aid after the Korean War. The Christian figures took a right-wing position in the liberation space and established a right-wing foundation by maintaining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the organized political participation of Christians almost disappeared. First of all, they were interested in rebuilding the collapsed church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that, Christianity has participated in society through relief activities since the Korean War, and rose to prominence in education and welfare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