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임금노동자를 대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찰하고 그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무만족과 Big 5 성격요인을 중심으로 이론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인구사회학적요인, 성격특성요인, 조직요인으로 변수를 구성하여 한국노동패널조사 18차 부가조사와 19차 본조사에 응답한 임금노동자 5,784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성격요인 Big 5 중 개방성, 성실성, 친화성은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신경증은 부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와 함께 조직요인의 정규직 여부, 월평균임금, 성과급제 여부, 교육수준적합도와 기술수준적합도는 정적인 영향을, 근로시간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사회학적요인에서는 여성일수록, 학력과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개방성 함양과 신경증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근로시간 단축, 정규직 전환, 고용의 질 재고 등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For this purpose,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on job satisfaction and Big 5 personality factors were reviewed and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personality trait factors, and organizational factors were analyzed. From the 18 and 19th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5,784 wage workers were extracted for th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openness, conscientiousness, and agreeableness of the personality factor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while neuroticism showed negative influence.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gender, age, education, employment position, monthly average wage, incentive pay, weekly regular working hours, and the fitness level of education and skil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introducing programs to enhance openness and alleviate neuroticism in organizations. It also proposed policy measure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such as reducing working hours, switching to permanent position, and providing quality jo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