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불화를 통해 고려와 일본의 뇌신도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를 간략하게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서로 같은 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양국의 뇌신이 남성이며, 둥근 테 모양의 연고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서로 다른 점으로는 먼저 고려에만 있고 일본에 없는 요소로서 뇌신의 아래에 우산을 쓰고 가는 사람의 그림이다. 그리고 일본에만 있고 고려에는 없는 것으로서 뇌신의 등장범위 그리고 풍신과의 관계가 있다. 즉, 고려는 관음계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지 않다면, 일본은 비관음계에도 등장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고려의 것보다 활용의 폭이 훨씬 더 넓고 다양하다. 그에 따라 뇌신의 성격도 고려는 인간을 괴롭히는 악귀에 불과하지만 일본은 싯다르타의 수행을 방해하는 악귀인 동시에, 천수관음을 도와 불법을 수호하는 선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일본의 경우 뇌신은 풍신과 짝을 이루어 등장하는 것이 주류로서 형성되었지만, 고려에는 그러한 것이 없다. 셋째는 서로 같으면서 다른 점으로는 뇌신의 신체와 북채 그리고 관음과의 관계를 들 수 있다. 먼저 신체의 경우 고려는 저두형(猪頭形)이 대부분을 차지한다면, 일본은 오니의 귀두형(鬼頭形)이 주류를 이루는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뇌신이 연고를 두드리는 북채(도끼)를 들고 있는 것은 고려와 일본은 서로 공통되나, 고려의 뇌신이 두 손 두 발에 모두 북채를 가지고 있다면, 일본은 그것이 두 손에만 있다는 것이 다르다. 또 뇌신이 관음도에 그려진다는 점에 있어서는 양국은 같으나, 고려는「수월관음도」에서는 우측 하단, 그리고 『법화경』의 변상도에서는 좌측 상단에 위치하지만, 일본은「천수관음도」의 상단 좌우에 풍신과 더불어 뇌신이 그려져 있는 것도 차이가 난다. 넷째, 관음도를 통한 고려와 일본의 독자성이다. 수월관음도에 뇌신을 그려 넣은 것은 고려가 유일하며, 천수관음도의 상단 좌우에 뇌신(우측)과 풍신(좌측)을 배치한 것은 일본의 특징이다. 즉, 고려의 수월관음도는 북송의 영향을 받은 관음도의 바탕에 5,6세기의 뇌신의 모습이 그려져 있는 반면, 일본의 천수관음도는 당송대에 유행했던 관음도의 바탕 위에 5,6세기의 귀두형 뇌신의 모습을 그려놓은 것이다.


This thesis presents a comparative study of the Thunder God iconography in Goryeo and Japan through the Buddhist paintings. These findings are summarized into the four following statements. First, their similarities include the masculinity of Thunder God in both countries and the ring-shaped tabor carried by the gods. Second, their differences include the element which is found only in Goryeo and is missing from Japan, that is, the image of a person who walks with an umbrella under Thunder God. And what is found in Japan but is not available in Goryeo is the scope of Thunder God’s appeara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Wind God. In Goryeo, the Thunder God does not go outside the domain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whereas in Japan, it is presented in the Japanese Buddhist scriptures outsid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uch as Issaikyō and Ingakyo, the instrument called kei (磬), and the Buddhist temple tales of pratītyasamutpāda (‘dependent origination’), thus registering a broader, deeper, and more diverse application. Accordingly, as far as the character of the Thunder God goes, it is nothing but a goblin that torments humans in Goryeo, whereas in Japan, it is at once a goblin that disturbs Siddhartha’s training and a zen god who helps Sahasrabhuja-aryaavalokiresvara to safeguard the way and the Buddhist truth. In Japan, the appearance of Thunder God paired with Wind God is quite regular, which is missing from Goryeo. Third, what constitutes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ates is the relationship among Thunder God’s body and drumstick and Avalokitesvara Bodhisattva. First of all, the two states commonly show the body which takes the shape of a muscular man but the face is not human. To be specific, Goryeo’s majority is the pig head whose mouth protrudes, whereas Japan’s mainstream is the goblin head of oni which has hair standing up and has a scary face. Thunder God carrying a drumstick (axe) that beats the tabor is a common feature in Goryeo and Japan, but their rendering varies in the two states. Goryeo’s Thunder God has the drumsticks both in its hands and feet, whereas Japan’s Thunder God has a drumstick only in its hands. The two states concur in that Thunder God is described in the painting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However, they differ in that in Goryeo, Water-Moon Avalokitesvara Bodhisattva has it at bottom right and byeonsangdo (‘iconography’) of Saddharma-Pundarika (‘the Sutra of the Lotus’) has it at top right, whereas in Japan, Sahasrabhuja Sahasranetra (‘Thousand-Arme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has both Wind God and Thunder God at top left and right. Fourth, it is the independent qualities of Goryeo and Japan as demonstrated in their painting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inclusion of Thunder God in the paintings of Water-Moon Avalokitesvara Bodhisattva is never found in Japan or China. In contrast, the design and composition involved in describing the pair of Thunder God (right) and Wind God (Left) on top of the paintings of Sahasrabhuja Sahasranetra is characteristic of Japan and is almost never found in Goryeo or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