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80년대 뉴욕 미술계의 반역자’, ‘팝 초현실주의자’ 등으로 불리는 세계적인 팝아티스트 케니 샤프(Kenny Scharf)는 공상과학만화 등의 문화콘텐츠에 사회적인 메시지를 결합시킴으로써, 예술의 사회적 기능을 재조명해 왔다. 그는 1970년대 후반에 일어난 전쟁과 에이즈(AIDS)의 공포를 작품 속에서 지속적으로 스토리텔링한다. 이러한 종말론적 세계관은 작가의 긍정적 에너지와 유머로 가득 찬 시공간 이미지로 탄생하여, 예술계와 관람객의 이목을 끌어왔다. 이에 본고는 예술과 문화콘텐츠의 탈경계적 시뮬라크르를 통해 하이브리드적 스토리텔링하는 샤프의 작품세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샤프의 팝아트를 다음의 네 기준으로 분석한다. 첫째로 우주지향적 하이브리드의 특성이다. 그는 우주를 소재로 하는 일상, 과학, 종교를 연결하는데, 이러한 하이브리드적 스토리텔링의 매체로 만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등의 문화콘텐츠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팝아트의 소재로 활용하는 오브제들의 관계적 재탄생이다. 그의 작품에서는 다른 영역의 오브제들이 작가의 세계관을 토대로 독립적인 관계로부터 상호적 관계로 나아감을 볼 수 있다. 셋째로 팝아트의 가장 보편적인 주제의식과 연동되는 것으로, 소비의 사회 속 예술의 재생산을 재현한 작품들이 이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지구 종말의 순간에 유토피아의 세계로 이동하려는 존재론적 몸부림이다. 이는 특유의 상상력으로 탈바꿈한 공간 전시 작품으로 구현된다. 본론에서는 상술한 네 항목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사례로 들어, 작품에 내재된 작가의 세계관과 시뮬라크르의 특성을 상세하게 살펴볼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도입으로 시뮬라크르의 양상이 여러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제는 예술과 문화콘텐츠의 영역에도 AR, VR, MR 등의 첨단기술이 관객들로 하여금 경험의 장을 넓히고 있다. 그런즉 모든 것이 하이브리드적으로 뒤엉키는 기술중심사회에서, 관람자는 시공간을 넘나드는 기술적 시뮬라크르의 재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과 문화콘텐츠를 넘나드는 샤프의 팝아트에 나타난 시뮬라크르의 탈경계성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소비사회의 하이브리드적 시각이미지를 예측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의의를 지닌다.


Pop artist Kenny Scharf has reflected american cultural contents and social message. In his works, there are fears of wars and AIDS in the late of 1970s. This his view of world inflected to virtual images filled with positive energy and humor. Thus this article explores the analysis of simulacre with trans-boundaries focusing on hybrid storytelling in his pop ar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llowing four elements. Firstly, his works have the characteristics hybridity bound for universe. Scharf makes use of common things, sciences, and religion and connected within universe and utilizes comic, animation, soap opera and etc. Secondly, we can see relational rebirth of common objects. Many objects in his works, they go forth from independent thing to interactive relationships. Thirdly, double functions of pop arts such as enjoyment and criticism which is one of main purposes in pop art. Finally, artist’s ontological behavior from dystopia to utopia. This is represented by spacial exhibition based on artitist’s imagination. In the third chapter, these four characteristics have explained with pop arts relevant to each categories. Recently various simulacres have been represented in many areas due to digital technology. Advanced reality, virtual reality, and mixed reality will be showed in anot only costumers’ technological experiences in exhibitions but also fine art itself. Thus we need to be interested in an artistic representation of technological simulacre in modern society. This article considers trans-boundaries of simulacre and expects hybrid visual images in art.